[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 축[axis]의 형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5 23:28
본문
Download :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hwp
이번 실험에서는 Xenopus laevis의 미수정란을 관찰해보았다. Xenopus의 알은 animal pole과 vegetal pole로 확연히 구별되는 생김새를 가진다는 것을 observe할 수 있었고, 여기서 더 나아가 Xenopus의 발생과정과 축의 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불균등한 완전난할은 빠르게 분열하는 동물극의 소할구 영역과 느리게 분열하는 식물극의 대할구 영역으로 구분한다. 분열이 진행됨에 따라 동물극 부위는 수많은 작은 세포로 채워지고, 반면에 식물극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크고 난황이 많은 대할구가 차지한다. 세 번째 분열은 예정대로 수평으로 일어나지만, 식물극에 위치한 난황 때문에 분열면은 적도면이 아니라 동물극으로 치우친다. Xenopus의 알은 animal pole과 vegetal pole로 확연히 구별되는 생김새를 가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여기서 더 나아가 Xenopus의 발생과정과 축의 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중 아프리카 원산 무미 양서류의 일종인 Xenopus laevis는 다른 양서류에 비해 난자를 계절과 무관하게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고, 實驗실에서의 성체 사육이 가능하며 발생속도가 빠르고 實驗적 조작에 관련되어 잘 견딘다는 장점이 있따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 축[axis]의 형성
Download :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hwp( 92 )
양서류는 배아발생, 유도작용, 세포의 운명결정 및 패턴형성 등에 대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어왔다. 그 결과 개구리 알은 동물극에 네 개의 작은 할구와 식물극에 네 개의 큰 할구로 나누어진다.
설명
대부분의 개구리와 도롱뇽의 배아는 극피동물과 같이 방사대칭형 완전난할을 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양서류 배아는 염색체 수가 많고, 돌연변이 등의 어려움이 있어 발생유전학의 연구에는 부적합하다.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187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5/%5B%EB%B0%9C%EC%83%9D%EC%83%9D%EB%AC%BC%ED%95%99%5D%20Xenopus%EC%9D%98%20%EB%B0%9C%EC%83%9D%EA%B3%BC-1876_01.jpg)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187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5/%5B%EB%B0%9C%EC%83%9D%EC%83%9D%EB%AC%BC%ED%95%99%5D%20Xenopus%EC%9D%98%20%EB%B0%9C%EC%83%9D%EA%B3%BC-1876_02_.jpg)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187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5/%5B%EB%B0%9C%EC%83%9D%EC%83%9D%EB%AC%BC%ED%95%99%5D%20Xenopus%EC%9D%98%20%EB%B0%9C%EC%83%9D%EA%B3%BC-1876_03_.jpg)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187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5/%5B%EB%B0%9C%EC%83%9D%EC%83%9D%EB%AC%BC%ED%95%99%5D%20Xenopus%EC%9D%98%20%EB%B0%9C%EC%83%9D%EA%B3%BC-1876_04_.jpg)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187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5/%5B%EB%B0%9C%EC%83%9D%EC%83%9D%EB%AC%BC%ED%95%99%5D%20Xenopus%EC%9D%98%20%EB%B0%9C%EC%83%9D%EA%B3%BC-1876_05_.jpg)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 이번 실험에서는 Xenopus laevis의 미수정란을 observe해보았다.
순서
양서류는 배아발생, 유도작용, 세포의 운명결정 및 패턴형성 등에 대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어왔다. 하지만 양서류 알은 성게 알에 비해 많은 난황을 가지고 있고, 식물극에 많이 분포한 난황은 난할에 영향을 주게 된다 첫 번째 분열은 동물극에서 처음 하여 식물극으로 천천히 진행된다
발생생물학, Xenopus의 발생과 축,axis
도롱뇽 및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 배아는 알이 크고 발생이 빠르기 때문에 實驗발생학의 재료로 선택되었으며, 특히 이식實驗에 가장 적합하다.
에서 분열홈이 동물반구와 식물반구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따 첫 번째 분열홈이 식물반구의 난황이 많은 세포질에서 계속 진행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두 번째 분열이 이미 동물극에서 처음 하는 것을 볼 수 있따 첫 번째와 두 번째 난할은 경할로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