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7 22:29
본문
Download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pptx
8. 밤에 손톱을 깎으면 그 이튿날 재수가 없다.
4. 임신 중 문을 바르면 벙어리를 낳는다.
10. 털난 짐승을 먹으면 기형아를 낳는다.
3. 들에서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음식을 먹기 전에 「 고시래 」 하고 음식을 던지고 먹으면
부정을 타지 않는다.
5. 간장과 된장을 담고는 장독에 금줄을 두르고 황토 흙을 깔면 간장과 된장이 맛이 있따
6. 길을 가다가 빗을 줏으면 재수 없다.
11. 모서리에 앉으면 복 나간다.
8. 붕어를 먹으면 아기 눈이 튀어나온다.
2.1 금기와 민속
한국 금기의 instance(사례) - 임신 중 금기사항
1. 임산부가 새끼줄을 넘으면 아이에게 해롭다.
6. 부부간에 싸움을 많이 하면 아기의 성격이 거칠다.
4. 씨름을 할 때에 씨름판에 소금을 뿌리면 부정을 타지 않는다.
8. 임신한 여자가 체를 넘으면 열두 달 만에 아이를 낳는다.
7. 꿩을 먹으면 장님의 애를 낳는다.
5. 임신 중 부엌을 고치면 아기 목젖이 없어진다.
10. 임신부가 그릇을 깨면 그 애기는 오래 못산다.
9. 임신한 사람이 있을 때 묘를 이장하면 병신이 태어난다.
9. 붉은색으로 이름을 쓰면 죽는다
10. 밥 먹을 때 말하면 복이 나간다.
2.1 금기와 민속
한국 금기의 instance(사례) 그 외의 금기사항
1. 마을에 전염병이 퍼질 때 대문 위에 엄나무를 달아 놓으면 집에 전염병이 퍼지지 않는다.
풍수신앙과,민간,속신,인문사회,레포트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Download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pptx( 32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_SLIDE_1_
풍수신앙과
민간속신
_SLIDE_2_
목차
1. 풍수신앙
1.1 풍수 사상의 개요1.2 풍수 사상의 歷史
1.3 민속신앙 속에 수용된 풍수사상
1.4 풍수신앙의 예
2. 민간속신2.1 금기와 민속
2.2 점과 민속
2.3 성기신앙
2.4 도깨비신앙
_SLIDE_3_
1.1 풍수 사상의 개요
풍수사상
: 땅의 길흉이 사람의 길흉화복에 影響을 미친다는 사상.
장풍득수(藏風得水)에서 어원 origin
풍수의 구분
1. 양기풍수
도읍이나 군현, 마을 등 취락풍수
2. 양택풍수
개인의 주택 풍수
3. 음택풍수
산소의 자리잡기 등 묘지풍수
3
_SLIDE_4_
인류가 존재하기 스타트하던 때
거세게 몰아치는 곳을 피하고 양지바른 곳에 터를 잡음
신라말기
china(중국) 의 影響과 도선국사에 의해서 풍수사상이 학문적으로 체계화
고려, 조선시대
학문적으로 위치를 굳히고 과거의 시험과목으로도 자리잡음
일제강점기
일제가 우리나라의 기…(투비컨티뉴드 )
5. 오징어를 먹으면 뼈 없는 아이를 낳는다.
2. 고갯길에 자리한 성황당이나 교목에 돌을 던지고 침을 뱉으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
9. 두 쪽 과일을 먹으면 쌍둥이를 낳는다.
7. 갓난아이를 업고 무겁다고 말하면 살이 빠진다.
6. 오리고기와 달걀을 섞어 먹으면 아이를 거꾸로 낳고 심장이 차가워진다.
2. 임신부가 붉은 치마를 입거나 띠를 두르면 아이가 범죄인이 된다
3. 임산부가 화재 난 것을 보면 산아가 종기를 앓는다.
7. 임신한 몸으로 개를 발길로 차면 불길하다.
12. 여자가 남자 옷을 넘어 다니면 큰 인물이 못 된다
2.2 점과 민속
어떤 단서를 근거로 하여
과거와 현재에 놓여있는 처지,
未來의 사건, 현재 하려는
행위의 당위 여부에 관한
정보를 얻는 수단
점과 복의 합성어
옛 사람들이 국가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등껍질을 이용하여 점을 쳤던 것에서 비롯
2.2 점과 민속
점복의 종류
1. 자연관상점 2. 상복 3. 몽점 4. 신비점
5. 인위점 6. 작괘점 7. 관상점 8. 상지점
9. 도참(圖讖)예언(豫言)
점복자의 종류
1. 강신 점복자 2. 역리 점복자
3. 상 점복자 4. 풍수 점복자
1. 지적 호기심 충족의 기능
2. 정서적 불안 해소의 기능
3. 제액초복(除厄招福)의 기능
4. 농사 등에 관한 과학적 기능
5.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주술적 기능
6. 수신과 노력을 촉구하는
교육적 기능
7. 놀이의 기능
8. 사회 분위기를 이끄는
정치적 기능
2.3 성기신앙
남자와 여자의 생식기(生殖器) 형태나 모형을 숭배 대상으로 받드는 민속신앙 또는 나무나 돌, 도제로 남녀 성기의 모형을 만들어 봉안하고 신체(神體)로 믿거나 남녀 성기와 유사한 암석 또는 암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인문사회레포트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