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에서의 상호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3 07:17
본문
Download : 교실에서의 상호작용.hwp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 교실에서의 상호작용기타실험과제 , 교실에서 상호작용
실험과제/기타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1. 관념정의(定義)
가. 교실이란 교실의 사전적 정의(定義)는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에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는 방‘으로 명명된다 그러나 교육학 용어로서의 교실이란 교사와 학생의 상황정의(定義)가 교차하는 곳을 의미하며 동일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자주적으로 만든 집단이 아니기 때문에, 긴장과 갈등이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어있다 즉 의무적인 관계를 말한다. 전락이란 교실은 교사와 학생의 상황정의(定義)가 서로 교차하는 곳이기 때문에 교실 내에서는 서로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학업과 관련된 formula(공식) 교과의 전달과정 뿐만이 아니라 서로 합의를 추구해 나가는 협상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시지향형의 학생인 경우 교사를 추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목적이 시험 등 교사의 요구와 학생의 요구가 합하는 한에서만 지속될 뿐, 만약 ‘태도’에 관한 것일 경우 서로의 사고방식이 다르면 위장적 일탈, 퇴행 등의 전술으로 불만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는 교육전문가로서의 입장과 교육현장의 현실 사이에서 딜레마를 느끼기 때문에 이 관계 속에서 교사는 공적인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한 전술 뿐만이 아니라, 교사 자신이 교실의 생생한 실제적 상황에 adaptation(적응) 해 가는 전술으로서 ‘생존을 위한 감추어진 교수법’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나. 상황정의(定義) 학생의 입장에서 ’학급사회‘란 고통 받지 않고 잘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곳으로 정의(定義)된다 이는 다수의 또래집단과 학교라는 공간에서 긴 시간을 함께해야 하는 학생들이 그 공간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이 그 시기에 매우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을 통해 교사의 요구를 변경하거나 수정하도록 작용을 가하는데 터너(G. Turner,)의 ‘협상적 전술’에 따르면 학생들이 교사의 요구에 추종하는 동기는 가치와 규범에 대한 자동적인 참여에 의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목적이 있다고 한다.
다. 교사의 이와 같은 전술은 학생의 학습에 또한 간접적ㅇ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2) 학생의 전술 학생은 교육학에서 목적의식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선택하여 행위하는 존재로 인식된다 상대적으로 교사와의 협상과정에서 갖는 영향력이 교사에 비해 약한 학생은 교사의 요구를 간파하고 대처하기 위해서 나름의 전술을 세워 상황에 대처한다. 이 때 교사와 학생은 그들 나름대로의 ’전술‘을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1) 교사의 전술 기본적으로 교사는 권력을 배경으로 한 통제의 원리에 기초한다. 학생은 학급에서의 생존경쟁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사가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나 말 속에서 그 의도를 파악하여 행동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습하기도 하며 되려 학급 밖의 또래집단에 준거를 두고 함께 집단을 형성하여 교사에 대해 저항하려고도 한다. 메한의 입장과는 다르게 우즈(P. Woods)는 ‘생존전술’을 제시했다. 주로 직접적 명령과 금지와 같은 가시적인 수단과 함께 어조나 표정 등의 잠재적 표현을 함께 사용하여 암묵적으로 학생들을 통제한다. 터너가 제시한 학생의 협상적 전술은 다음과 같다. 학생의 상황을 적절히 이해함으로써 교실 상황에 adaptation(적응) 할 수 있다 메한(Mehan,1979)의 연구에 따르면 교실은 주로 언어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데 `교사의 주도` - `학생의 응답` - `교사의 평가` 순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투비컨티뉴드 )교실에서,상호작용,기타,실험과제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설명
Download : 교실에서의 상호작용.hwp( 63 )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