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3 16:20
본문
Download : 한부.hwp
그것은 「초사」의 제2인자로 알려진 송옥(宋玉)때부터 이미 그러했다. 매승(枚乘,?~B.C.141)의「칠발(七發)」과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허부(子虛賦)」가 양효왕(梁孝王)을 위하여 지어졌고, 사마상여의 「상림부(上林賦)」·「대인부(大人賦)」는 무제(武帝)에게 바치기 위하여 지어졌고, 양웅(揚雄)의 「감천부(甘泉賦)」·「하동부(河東賦)」·「우렵부(羽獵賦)」·「장양부(長楊賦)」등은 성제(成帝)에게 바치기 위해 지어졌다는 사실만 가지고도 이러한 <부>의 경향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부는 한자가 지니는 문자의 characteristic(특성)과 회화적인 형체상의 characteristic(특성) 및 음악적인 성운(聲韻)상의 characteristic(특성)을 다 살려 어떤 사물을 미사여구로 “포장서술(鋪裝敍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부의 형식주의적인 노력이 중국(中國)문학의 수사(修辭) 발전에 있어 큰 공헌을 하였음을 주시하여야 한다. 그는 왕명을 따라 「고당부(高唐賦)」·「신녀부(神女賦)」같은 작품을 유희 삼아 기교만을 다하여 짓고, 왕이나 그 주변의 사람들은 그것을 오락 삼아 즐겼던 것이다.”하고 있고, 『한서』권 51의 매고전(枚皐傳)에서는 매고 스스로가 말하기를 “<부>를 짓는 것은 배우나 같은 짓이여서 <부> 작가들을 창우(倡優)처럼 본다. 또한 『한서』권 64의 엄조전(嚴助傳)을 보면 무제(武帝)는 동방삭(東方朔)·매고(枚皐)·엄조(嚴助)·오구수왕(吾丘壽王)·사마상여(司馬相如)등 <부>작가들을 가까이 두고 있었는데, “황제는 이들을 배우처럼 양육해 주었다. 한대의 <부>는 수사(修辭)를 통한 문학의 가능성을 비로서 발견한 때의 문장이라서 후세에 와서는 문학창작의 기본이라 여겨지고 있는 개성을 부정하고 있따 물론 개인에 의해서 창작되는 이상 <부>에도 개성이 전혀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한부(漢賦)에서는 개인적인 특수한 감정이나 경험과 사상, 개성적인 문장 같은 것은 거의 무시당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것을 읽고쓰기 듣는 군왕(君王)들은 <부>를 오락적인 태도로 대하였다.






설명
순서
Download : 한부.hwp( 32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한부
다.한부 , 한부기타레포트 ,
2. 한부(漢賦)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