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8 18:53
본문
Download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hwp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
설명
2.2 품질
ㄱ. 입도는 3~5㎜ 정도로 하며, 10㎜를 초과하는 입도를 함유하는 생석회는 불합격품으로 한다.
4.2 삼여물
ㄱ. 대마를 사용한다.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미장공사-analysis)
순서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 에 대한 글입니다.
ㄹ. 마대, 마승 등을 짧게 잘라 물에 풀어 사용할 수 있다
4.3 종이여물
ㄱ. 한지, 마농지, 창호지 등의 헌종이를 물에 풀어 섬유로 만들어 표백하여 사용한다.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미장공사-분석)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인문사회레포트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 에 대한 글입니다.
ㄷ. 재벌바름용은 20㎜ 내외로 잘라서 부드럽게 푼 것을 사용한다.
3. 소석회[Ca(OH)2]
생석회에 물을 작용하여 소화시켜 만든 것으로 백색분말이며, 미장재료의 보조용으로 사용한다.ㄷ. 정벌바름용은 백색으로 표백하여 사용한다.
ㄴ. 섬유가 튼튼하고 불순물이 없는 것을 잘 씻어서 충분히 건조한 후 사용한다.
ㄴ. 색상은 순백색 또는 회색으로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4.4 털여물
ㄱ. 소털, 말털 등 동물의 털로서 표백한 것을 풀어서 사용한다.
ㄴ. 닥나무의 섬유를 사용한다.
4. 여물
4.1 짚여물ㄱ. 잘 마른 볏짚을 잘게 잘라 사용한다.
ㄴ. 회벽을 바를…(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미장공사).hwp( 76 )
,인문사회,레포트
다.
ㄴ. 초벌바름용은 30~90㎜로 잘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