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골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8 05:12
본문
Download : [의학] 골절.hwp
정복을 하는 방법에는 마취하에서 도수정복(manipulative redution)하는 방법과 외과적으로 수술을 하여 정복하는 방법이 있따 정복 후에는 외적으로 혹은 내적으로 고정을 해주어야 한다.
(2) 분 류
1.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 : 장골의 부위별 명칭에 따라 골단, 골간단, 골간부, 또는 인접관절을 침범한 경우 관절 내 골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근위부, 중간부, 원위부로 나누기도 한다. 또한 각각의 뼈의 특수한 해부학적 명칭에 따라, 대퇴골이 경우, 두부, 경부, 전자부, 전자하부, 과상부, 과부골절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6. 골절의 안정성에 의한 분류
① 안정골절: 뼈가 완전히 부러지지 않은 경우나 부러진 끝이 어디에 박혀 있거나 서로 꽉 끼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1) 원 인
골절은 직접 그 부위에 외력이 가해 질 경우와 외력이 가해지는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에 간접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되는 경우 등 그 원인(原因)이 대개 추락, 교통사고, 부주의한 기계사용, 스포츠 활동에서 빚어진다. 이런 골절은 팔목, 어깨, 발목, 그리고 골반에 흔하다.1) 부목 혹은 석고 붕대 : 골절의 전위가 없거나 경미하면서도 불안정 골절일 때 사용한다.
② 고정(Fixation) : 고정에는 크게 외적 고정과 내적 고정이 있는데, 외적 고정은 수술을 실시하지 않고 골절부의 외측면에서 부목이나 견인장치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며, 내적 고정은 수술을 실시한 다음 골절의 종류에 따라 특수하게 제작된 wire나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설명
[의학] 골절
순서
[의학],골절,의약보건,레포트
[의학] 골절 , [의학] 골절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골절
레포트/의약보건
[의학] 골절
다.
7. 개방창 동반 유뮤에 의한 분류
① 개방성 골절: 외상을 동반하며 피부가 찢어지고 뼈는 돌출되어 피부표면이 공기중에 노출, 오염된다
② 폐쇄성 골절: 주변 피부는 찢어지지 않은채 주변의 조직 손상으로 부종이 있따
(3) 골절의 치료
골…(drop)① 정복(Redution) : 골절 후 골편의 전위가 있거나 골편이 해부학적 위치 혹은 정렬(alignement)에서 벗어나 있을 경우에 이를 바로 잡는 것을 정복이라 하는데, 골의 전위가 없거나 골편이 매몰되어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정복이 필요하지 않다.
[ 골 절 ]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되어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상태를 말한다. 고정 중의 골편의 전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부목이나 석고붕대를 체형에 잘맞게 성형하여야 하며 고정된 부위의 혈액순환, 감각의 장
Download : [의학] 골절.hwp( 52 )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