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용접 -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실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6 23:39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 용접 -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실습.hwp
③ 이음효율이 높고 완전한 기밀과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④ 두께에 관계없이 거의 무제한으로 접합할 수 있다
⑤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여 작업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부재(部材) 자체의 접합부를 국부 가열하여 녹여서 접합하는 융접(融接:fusion welding)과 접합부에 녹는점이 낮은 다른 금속을 놓고 이것을 녹여서 합금화시켜 붙이는 납땜(brazing:soldering)으로 대별된다
납땜은 800℉(427℃)를 경계로 하여 녹는점이 이 이하인 납을 사용하는 것을 솔더링(soldering)이라 하고, 그 이상에서 하는 것을 브레이징(brazing)이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이 밖에 접합하려는 부재를 맞대고 강압하여 알맞게 가열해서 붙이는 압접(壓接:pressure welding)도 있다
일반적으로 좁은 뜻의 용접은 융접을 가리키는데, 이에는 아크용접가스용접저항용접특수용접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아크용접과 가스용접이 가장 널리 이용된다
아크용접은 방전을 통해 전극(電極) 사이에 아크를 만들고 그 발…(To be continued )
2) 용접의 특징
(1) 장점(長點)
① 이음 형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작업시 소음이 적다.
② 절삭 부분이 적어 재료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단축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⑤ 고온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한 보호구의 착용과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② 내부결함이 생기기 쉽고, 정확한 검사가 곤란하다.
2. 아크용접
1) 아크용접의 원리
Download : [기계공학] 용접 -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실습.hwp( 42 )
레포트/공학기술
[기계공학] 용접 -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실습
[기계공학],용접,-,아크용접과,가스용접,실습,공학기술,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