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4 06:02
본문
Download : 국악에 관한 고찰.hwp
(3)향악
아악과 당악을 제외한 한국의 재래 음악과 서역에서 전래된 음악을 총칭한다. 당악은 대체로 黃=C의 음계를 따른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판소리, 민요, 잡가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현재에 남아있는 아악곡은 문묘제례악 하나 뿐이다.
(2)당악
중국(China)의 당나라에서 전래된 음악과 더불어 중국(China) 송나라의 사악(詞樂)을 총칭한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때에 박연이 중심이 되어 아악을 정리(arrangement)하였다.
국악에 관한 고찰
●국악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국악에 관한 고찰●국악 , 국악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국악에 관한 고찰
Download : 국악에 관한 고찰.hwp( 63 )
●국악의 분류
1. 歷史(역사)적 분류법
한국 전통 음악의 歷史(역사)적 분류법은 악곡의 기원와 형식에 의한 구분법이다. 《경국대전》 등에 보이며, 《고려사》〈악지〉에 40여종의 음악이 introduction되어 있다아 현재 남아있는 당악은 〈보허자〉와 〈낙양춘〉 두 곡 뿐이다. 고려 중기까지만 해도 널리 쓰였으나, 고려 후기에 쇠퇴하였다. 향악은 대체로 黃=E♭의 음계를 따른다. 이 구분법 상에서 국악은 크게 아악, 당악, 향악으로 나누어진다
(1)아악
중국(China) 송나라에서 기원한 정악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려 예종 11년 (1116년)에 수입된 `대성아악(大晟雅樂)`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