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부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04:51
본문
Download : 학습부진_2105715.hwp
이 과정에서 그는 국어학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진요인이라고 보여지는 7가지 면을 분류했는데 ① 교사면, ② 학습면, ③ 평가면, ④ 교재면, ⑤ 적성면, ⑥ 진로면, ⑦ 능력면으로써 주목할 내용이다. 둘째로는 면담을 통한 事例연구를 행하였는데, 당시 일선학교에서 공시된 중학교 2학년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goal(목표) 달성도 조사를 위한 설문으로 만들기 위하여 영역별로 각각 5문항을 선정하여 총 20문항을 작성하였다.
표본선정에 있어서는 크게…(투비컨티뉴드 )
설명
다.학습부진에 대해 조사한 資料입니다. 그리고 전기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중학생과 중학교 교사를 상대로 면담을 통한 事例연구에서 부진요인을 유출하여, 국어학습 부진요인 분석을 위한 설문표본을 작성하였다.
순서
학습부진






학습부진
레포트/공학기술
학습부진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학습부진 , 학습부진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학습부진_2105715.hwp( 63 )
,공학기술,레포트
목차
Ⅰ. 서론 ......................................................................................................................... 2
1. 문제의 제기 ......................................................................................................... 2
Ⅱ.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 5
1. 국어과의 성격 ......................................................................................................... 5
2. 국어과의 goal(목표) ..................................................................................................... 6
3. 국어과의 내용 ..................................................................................................... 8
4. 국어과의 교수ㆍ학습방법 ................................................................................ 11
Ⅲ. 학습부진 요인 분석 ............................................................................................ 15
1. ‘학습부진’의 定義(정의) .............................................................................................. 15
2. 학습부진아의 特性 ............................................................................................ 17
3. 학습부진의 요인분석 ........................................................................................ 21
Ⅳ. 국어학습 부진에 관한 요인분석의 선행연구 고찰 .................................... 29
1. 국어학습부진아의 concept(개념) ................................................................................... 29
2. 이희선의 ‘국어학습 부진에 관한 요인분석’ .............................................. 30
Ⅵ. conclusion 및 제언 ...................................................................................................... 34
♠ Reference List ............................................................................................................... 36
조사분석에 사용한 자료(資料)와 방법으로, 첫째, 문교부령 제 325호(1973년 8월 31일 공시)로 공시된 중학교 2학년 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어학습 goal(목표) 달성도 조사를 위한 설문표본을 만들어, 조사를 행하였고, 부진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을 유출하여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