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05:59
본문
Download :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hwp
4. 유엔 소총회의 남한 단선 결정
소련의 반대로 남북한 총선거가 불가능하게 되자, 유엔 소총회가 열리기 앞서 1948년 2월 19일 유엔 조선임시위원단 의장 메논은 긴 연설을 하였다. 선거일자는 5월 9일이 일요일이라 하여 기독교단체에서 강렬히 반대하였고, 그날 일식도 있어 하루 연기한다고 하여 5월 10일로 바뀌어 남에서의 선거가 확정되었다. ‘메논 4개 방안(方案)으로 불리는 4가징 방안(方案)은,
제 1안 남한에 국한해서 치르는 선거를 감시하여 국민政府(정부)로 승인을 얻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미 육군중장 하지는 남한 단선에 관한 포고를 발표하였다. 그런데 임시위원단에서는 제 4안은 포기하기로 만장일
치로 합의하였다.
제 4안 현상태에서 임시위원단의 사명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표명하여 임시위원단이 받은 위
임을 총회에 돌려보내는 것이었다.
유엔 소총회에서 미국 대표 제섭은 메논이 제시한 4개 방안(方案) 중 제 1안을 지지하여 남한에 선거를 실시하라고 권고하는 결의안을 제출하였다. 미국과 소련이 대화와 협조를 통해 한반도에 통일된 政府(정부)를 수립한다는 目標(목표)를 포기하였기 때문에, 미국과 소련의 의도에 어긋나는 정치 세력은 배제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제 2안 1947년 11월 14일 총회에서 결의한 제 1호에 진술된바, 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대표가
조선 문제 심의에 참여하도록 하는 제한된 목적을 위하여 치러질 선거를 감시한다는 것이
었다. 이러한 분열된 상황을 극복하고자 김규식이 주도하는 민족자주연맹과 김구를 중심으로 한 단독政府(정부) 수립 반대 세력은 …(To be continued )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에 대상으로하여
,기타,레포트
현대사발표
설명






Download :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hwp( 22 )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에 대해서현대사발표 ,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기타레포트 ,
순서
레포트/기타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
다.
제 3안 임시위원단 제 2분과위원회에서 한국인 대표와 협의 도중에 살아난 것인데, 남 · 북한
의 지도자회담과 같은 한국의 민족적 독립을 확립할 다른 가능성을 탐구한다는 것이었다.
이런 사태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냉전이 본격화한 결과였기 때문에, 남한의 중간파 및 좌익 세력의 설자리는 이제 거의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