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定義(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5 01:57
본문
Download :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개념.hwp
반대로, 니케아에서는 호…(To be continued )
다. 원래는 person槪念이 아니다. 라틴어로 번역하는 과정이 잘못된 것이다.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定義(정의)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定義(정의) 에 대한 글입니다.교리화과정에서로고스 ,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개념생활전문레포트 ,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그래서 결국은 구원론적인 경건성이 승리를 하고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동일 본질이라는 명제가 여기서 채택되었다. 우리에게 낯선 槪念들이다. 다른 槪念이 없었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이었다. 예수 그리스도라고 하는 한 인격안에 두 본성을 이야기할 때 person槪念으로 번역되므로 인격으로 번역하였다. 이게 이른바 정통 교리가 되었다. 오늘의 槪念으로 말하면 오히려 하이포스타시스槪念은 개별자 槪念이 아니라 보편자 槪念이다. 우시아, 본질 槪念을 가지고. 사실은 우시아 槪念이 하이포스타시스라는 槪念도 잘 모르는 槪念들이다. 유대 전통의 유일신과는 멀어지는 것이고 삼신론 로 가는 것이다. 위격이란 말은 삼위일체론적 맥락에서 사용했다.
교리화과정에서로고스
순서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개념.hwp( 95 )
교리화 과정에서 로고스 개념에 대한 글입니다. 유대인들에게도 낯선 것이고, 예수님 제자들에게도, 예수님께도 낯선 槪念들인데, 예를 들면, 나중에 삼위일체 槪念으로 나가는데, 터툴리안 이후로, ..... 하이포스타시스 인격, 위격이란 말로 왔다 갔다 사용했다. 서구인들에게 있어서 개인주의의 이면에는 person 槪念이 있따 하나님 세분이 원탁에 앉아서 뭔가를 하는 그런 槪念이 온다. 이 책에서도 앞부분에 275페이지 제일아래서, 신약성서 안에서 다양한 기독론적 모델들중에서 하나로 통일 시킬 수 있는 것을 드디어 찾아낸 것이다. 그것은 웃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