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행정정보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7:15
본문
Download : 한국의 행정정보화.hwp
다시 말하면 행정 상황을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서 A라는 사람에게 중요한 문제가 B라는 사람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가 많다.
④ 이해 당사자가 많고 목표(目標)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목표(目標)의 계량적 표현과 변수의 정화간 정이가 필요한 관리과학의 여러 기법을 사용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경영정보시스템에 비하여 행정정보시스템이 이 기법과 통계적 기법을 포함하고 있는 각종 정책결정 패키지를 적게 사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일것이다
⑤ 공공부문에 동조하는 사람은 새로운 정보체계에서 자신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견해 이 없다. 공공조직의 설계는 보수적인데, 여기서 보수적이라는 말은 구체적이고 눈에 보이는 성과가 있고 윗사람이 좋아하리라고 판단되는 사업에 정보처리 설계의 우선 순위를 둔다는 것이다. 출생신고, 부동산 매매신고 등과 같은 것이다.
⑥ 공공부문이 법적인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부터 또 다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따 資料수취단계에서 공조직은 강제적 資料수취방법을 사용하려는 속성을 갖는다. 정보처리설계에서의 보수적 성향은 공조직의 궁극적 소유주인 국민의 관점이 무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③ 불명확한 목표(目標)는 운영하고 있는 행정시스템의 평가를 대단히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면 공용창출을 최대의 관심사로 보고 있는 사람에게는 행정정보시스템의 설게운영은 전혀 필요 없는 것이 될 수도 있따
② 행정정보시스템의 직접적인 소유주인 행정기관의 임기가 유한하고 행정기관이 갖는 기약 없는 특질 때문에 공공조직이 추구하는 목표(目標)는 단기적이고 한시적인 성격을 갖는다.
① 현재 행정정보시스템이 가져다주는 문제의 인식에서부터의 차이와 혼란이 존재한다.






,법학행정,레포트
행정정보시스템의 설계 운영상의 특질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다.설명
Download : 한국의 행정정보화.hwp( 12 )
사조직과는 달리 공조직은 이익 집단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해 당사자가 많다 따라서 目標(목표)가 모호하고 불명...
행정정보시스템의 설계 운영상의 특질 사조직과는 달리 공조직은 이익 집단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해 당사자가 많다 따라서 목표가 모호하고 불명... , 한국의 행정정보화법학행정레포트 ,
한국의 행정정보화
행정정보시스템의 설계 운영상의 특질
사조직과는 달리 공조직은 이익 집단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해 당사자가 많다 따라서 목표(目標)가 모호하고 불명확하다는 전제하에서 설계운영상의 특질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