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8:22
본문
Download : 북한문법론.hwp
따라서 그들의 보어는 남한 학교문법의 보어 관념과 전혀 다르다.참고로 여기서는 ( )에 종전 고유어 ...
성분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
(1)맞물린 성분(成分)
①주어(세움말):술어에 대해 임자로 되는 성분(成分)으로 대개 주격토로 실현된다 중주어문은 대주어-소주어 또는 총주어-각주어의 구조로 본다.`되다`앞의 성분(成分)은 우리의 부사어에 해당하는 간접보어로 보고 `아니다`앞의 성분(成分)은 주어로 본다.
(…(省略)①호칭어(부름말):호격이나 절대격으로 된 부름말이다(청년이여!,반장동무!).
②삽입어(끼움말):문장에서 이야기의 출처나 평가,보충적 설명(說明)을 위해 끼워넣는 문장부사류이다(말하자면,간단히 말해,실로,아마,비록,끝으로,결국,내 생각에는).
③감동어(느낌말):주로 감탄사로 된 성분(成分)이다(아,옳지,아이참,아니오).
④접속어(이음말):이음부사류에 해당한다(그리고,또한,이렇게 해서)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Download : 북한문법론.hwp( 35 )
,기타,레포트
ingredient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참고로 여기서는 ( )에 종전 고유어 ... , 북한문법론기타레포트 ,
다.






북한문법론
성분(成分)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