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설계 - 가변저항기를 이용한 OP-AMP & Zener diode를 사용한 Limiter회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8:21
본문
Download : 전자회로설계 - 가변저항기를 이용한.pptx
- 3. 다이오드를 직렬 ,병렬 단위로 분류
- 2.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여 증폭의 變化를 확인합니다. - ㄱ. 직렬 제너 다이오드 2개를 이용한 limiter 회로를 구현하고 출력파형이 어떤 모양인지 관찰한다.
- ㄴ. 다이오드의 개수를 늘리면 limit의 범위가 달라지는지 확인합니다. - ㄴ. 다이오드의 개수를 늘리면 limit의 범위가 달라지는지 확인합니다.
순서
만일 Q14와 Q20의 베이스 전류를 무시한다면 Q23의 이미터 전류 역시 0.25 IREF 일 것이다. - 3. 다이오드를 직렬 ,병렬 단위로 분류 - 4. 하나의 회로를 이용하여 band filter로 원하는 대역을 뽑아 낼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 4. 하나의 회로를 이용하여 band filter로 원하는 대역을 뽑아 낼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ICMR+가 14.6V보다 커지면 Q1,Q2,Q8 모두 Saturation 되므로 증폭기 & 전류원으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ICMR+는 14.6V가 된다 또한, ICMR-가 -12.5V보다 작아지면 Q3,Q4가 Saturation 되므로 ICMR-는 -12.5V가 된다
전자회로설계,가변저항기,OP-AMP & Zener diode, Limiter회로
pnp: Is=10-14A ,B=50 VA=50V
전자회로설계 - 가변저항기를 이용한 OP-AMP & Zener diode를 사용한 Limiter회로
Download : 전자회로설계 - 가변저항기를 이용한.pptx( 53 )
- ㄷ. 병렬 다이오드 시 직렬 다이오드와 달라지는점을 확인합니다.
ISB=0.75 x 10-14A
가 된다
npn : Is=10-14A ,B=200 VA=125V





설계 내용 및 사양
설계 내용 및 사양 - 1. 사용하는 op-amp는 UA741를 Pspice로 구현. - 2.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여 증폭의 변화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된다
이 전류와 R10의 전류가 합해져 Q19의 전류가 되므로
- ㄱ. 직렬 제너 다이오드 2개를 이용한 limiter 회로를 구현하고 출력파형이 어떤 모양인지 watch한다.
이 전류 값에서
ISA=0.25 x 10-14A
VBE18 를 약 0.6V로 가정하면, R10에 흐르는 전류는 15μA 가 되고 따라서 Q18의 이미터,컬렉터 전류는 각각 다음과 같다. - ㄷ. 병렬 다이오드 시 직렬 다이오드와 달라지는점을 확인합니다.
Q18의 베이스 전류는 165/200=0.8uA이고,
설명
- 1. 사용하는 op-amp는 UA741를 Pspice로 구현.
전류전원 Q13A는 0.25 IREF 의 전류를 Q18, Q19 그리고 R10으로 구성된 회로망에 공급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