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CI-LGEI 합병 결의 왜 나왔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4:05
본문
Download : 0211.gif
LGCI-LGEI 합병 결의 왜 나왔나
LGCI-LGEI 합병 결의 왜 나왔나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
존속법인인 LGCI의 상호를 (주)LG로 결정한 것도 이미 글로벌화된 ‘LG’라는 브랜드가치를 공유하고 대내외적으로 LG를 대표하는 회사로서의 상징적 위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LGCI-LGEI 합병 결의 왜 나왔나
LG가 그동안 국내 대기업이 한번도 시행해 본 적 없는 지주회사체제 확립에 나선 것은 일단 ‘일등 LG’의 달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설명
이번 합병결의에 따라 합병법인은 일단 외형상으로만 자본금 1조3008억원, 자산 6조2000억원, 자기자본 4조6000억원 규모에 부채비율 35% 수준의 우량한 재무구조를 갖춘 기업으로 재탄생된다된다. LG측은 이번 LGCI 및 LGEI의 이사회 결의를 통한 합병절차가 마무리되면 지주회사체제라는 차별화된 선진적 기업지배구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일등 LG달성’을 가속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Download : 0211.gif( 48 )
LGCI와 LGEI의 합병 결의는 지난 2000년 LG그룹이 발표한 지주회사 선언에 대한 ‘완결판’으로 해석된다된다.
LGCI-LGEI 합병 결의 왜 나왔나
이와 관련, LG의 한 관계자는 “이번 합병을 통해 LG가 국내 대기업그룹 가운데 최초로 지주회사체제를 도입한 것은 기업지배구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한국 기업경영사에 큰 획을 긋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또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과 기업경영에서 창출된 이윤을 선택과 집중에 따른 the gist역량 강화를 위해 집중 투자하면서 세계일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선진적 기업지배구조를 확립하게 될 수 있을 것이란 판단도 크게 작용했다. 영문상호를 ‘LG Corp.’로 정한 데도 이같은 의미가 담겨있다고 LG측은 밝혔다.
LG는 이번 결의에 따라 LGCI를 합병의 모체로 해 LGEI와 LGMRO를 흡수합병키로 하고 내년 1월 임시주총을 거쳐 3월에 통합지주법인 (주)LG를 公式(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레포트 > 기타
LG는 이같은 출자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경영투명성 제고는 물론 사업자회사들은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과 이사회 중심의 경영을 통해 사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돼 궁극적으로 주주가치 및 기업가치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다.
순서
(주)LG 이사회는 구본무 LG 회장, 허창수 LG건설 회장, 성재갑 현 LGCI 부회장, 강유식 LG구조조정본부장 등 4명과 김진현 전 과기처 장관, 구자정 전 하나증권 회장, 김용진 안건회계법인 고문, 신영수 연세대 교수 등 사외이사 4명을 포함해 총 8명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다.
하지만 LG가 통합지주법인에 기대하고 있는 효율는 출자부문과 사업부문을 분리함으로써 계역 간 순환출자구조를 해소함은 물론 지주회사는 출자에 전담하고 사업자회사들은 출자에 대한 부담없이 고유사업에만 전념함으로써 사업경쟁력과 지주회사의 가치를 제고한다는 것이다.





LG는 지난 2000년 지주회사 출범을 선언한 이후 2001년 4월에 화학부문의 지주회사인 LGCI를 설립한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전자부문 지주회사인 LGEI를 출범시키는 등 통합지주회사로의 수순을 밟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