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槪念)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9 11:17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hwp
셋째는 ‘윤리규범’으로서 인간관계에서 따라야 할 가치관을 의미하며 道理․天命 등의 의미를 이어받은 것이다.
조선 유학에서 理 concept(개념)은 여러 가지 함의를 가지고 있따 이는 오랜 역싸 속에서 理라는 글자에 담겨 온 의미를 고스란히 안고서 당대 최고의 철학 concept(개념)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그 의미를 정리(arrangement)해 보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따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concept(개념)에 관한 연구
Download :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hwp( 63 )
첫째는 ‘궁극적 근원’으로서 만물의 존재론적 기원을 의미하며, 이는 太極․道 등의 함의를 포용한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 근원이라고 할 때에도 이미 존재론적 의미뿐 아니라 최고․최초의 원리라는 가치론적 의미가 결합되어 있고, 자연법칙의 의미 역시 순수하게 자연에 대한 觀察(관찰) 과 사색을 통한 자연 이해라기보다는 그 시대․사회의 윤리규범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설득력을 강화하기 위한 탐구의 과정에서 의미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조선시대에 자연법칙 및 존재론의 탐구는 도덕규범과 가치론의 탐구를 뒷받침한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두 관점을 분리하여 자연관만을 추출해 낸다는 것은 조선유학에 대한 이해를 왜곡시킬 수밖에 없다.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槪念)에 관한 연구
1) 氣哲學에서의 理 : 花潭 徐敬德(1489-1546)
순서
2) 理一元論化에서의 理 : 蘆沙 奇正鎭(1798-1879)
2) 理通氣局의 理 : 栗谷 李珥(1536-1584)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
3) 流行의 理와 推測의 理 : 惠崗 崔漢綺(1803-1877)
2) 主理的 理氣論 정립기의 理 : 晦齋 李彦迪(1491-1553)
1. 들어가는 말
1) 感覺 對象으로서의 理 : 湛軒 洪大容(1731-1783)
다. 둘째는 ‘자연법칙’으로서 우주만물이 생겨나는 과정에서부터 생성이후의 운행에서 포착되는 일정한 법칙성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道․天理 등의 함의가 수용된 것이다.
1. 들어가는 말
설명
(3) 理氣一元論化에서의 理
1) 氣一元論化에서의 理 : 鹿門 任聖周(1711-1788)
2. 理concept(개념)의 함의와 변천
2) 性과 분리된 理 : 茶山 丁若鏞(1762-1836)
(1) 理concept(개념)의 성립
1) 理發․理自到의 理 : 退溪 李滉(1501-1570)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307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1%B0%EC%84%A0%20%EC%9C%A0%ED%95%99%EC%9D%98%20%E7%90%86%20%EA%B0%9C%EB%85%90%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076_01.gif)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307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1%B0%EC%84%A0%20%EC%9C%A0%ED%95%99%EC%9D%98%20%E7%90%86%20%EA%B0%9C%EB%85%90%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076_02_.gif)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307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1%B0%EC%84%A0%20%EC%9C%A0%ED%95%99%EC%9D%98%20%E7%90%86%20%EA%B0%9C%EB%85%90%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076_03_.gif)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307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1%B0%EC%84%A0%20%EC%9C%A0%ED%95%99%EC%9D%98%20%E7%90%86%20%EA%B0%9C%EB%85%90%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076_04_.gif)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에 관한 연구-3076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1%B0%EC%84%A0%20%EC%9C%A0%ED%95%99%EC%9D%98%20%E7%90%86%20%EA%B0%9C%EB%85%90%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076_05_.gif)
(4) 後期 實學에서의 理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理氣論 정립기의 理
4. 맺음말 : 자연의 理와 인간의 理
[동양철학론] 조선 유학의 理 개념(槪念)에 관한 연구
(2) 理氣論 심화기의 理
3. 조선 유학의 理
(2) 理concept(개념)의 심화
그런데 이 논문에서 주목할 것은 자연철학적 concept(개념)으로서의 理이므로 위의 세 가지 의미 중 궁극적 근원과 자연법칙의 의미가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