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 유아연구 및 평가 D형>표집의 의미와 표집방법에 대한 심층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3 07:58
본문
Download :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hwp
대체로 observe단위와 分析(분석)단위가 같도록 하는 게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치하지 않는 수도 있다(홍두승, 1987 : 65)
Ⅱ 본론
Ⅱ.2.2. 비확률표집법(nonprobability sampling)
김광웅 저, 『방법론강의』, 박영사, 1996
(3) 요소(element)
(2) 할당 표집(quota sampling)
1. 표집조사의 기본용어
(1) 의도적 표집법(purposive sampling)
(5) observe단위(observation unit)와 分析(분석)단위(unit of analysis)
(1) 단순무선표집 (simple random sampling)
2. 확률표집의 종류
표집단위란 표집과정의 각 단계에서의 표집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조사대상 집단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이다. 따라서 엄청난 양의 정보들이 넘쳐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표집단위는 개인일 수도 있지만, 표본추출이 여러 단계를 걸쳐 이루어질 때에는 개인이 아닌 집합체가 되기도 한다. 4. 표집조사의 장-단점
Ⅱ.3. 표집오차와 표본의 크기
표집, 표집의 의미, 표집의 방법, 유아연구 및 평가, 유아교육과
(4) 표집단위(sampling unit)
3. 표집조사의 절차
2. 표집조사의 목적
1. 다단계표집(multistage sampling)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할 때, 추출되는 요소와 요소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표집간격은 주로 계통표집과 연관되어 있다
2. 장점(長點)
3. 단점
21세기는 정보의 사회이다. 이것은 또한 모집단 단위라고도 불리운다. 특별히 자본주의의 강화 그리고 세계적으로 강력하게 대두되는 민주화 경향등에 의하여 모든 사람들의 행동양태, 관심 또는 흥미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reference(자료)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써 표집조사는 그 중요성을 더하게 될 것이다.
*bibliography*
다.
2. 표본의 크기
1. 확률표집 (probability sampling) 의 의미
(4) 군집표집 (群集標集, cluster sampling)
Ⅱ.2. 표집의 종류 및 기법
4. 유층무선표집과 유층계통표집
전집이란 연구 대상이 사물(things)이건 사건(events)이건, 현상이건 생물이건 간에 연구하고자 설정하는 대상 전부를 일컫는다. 즉, 모집단은 측정(measurement)의 대상이 되는 전체 단위들의 집합이다. 分析(분석)단위는 reference(자료)를 分析(분석)하는 단위이다.
3. 유층군집표집(stratified cluster sampling)
1. 표집오차
Download :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hwp( 49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D형 참고자료입니다
김병성 저,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 1997
4. 종류
1. 표집조사의 기본용어
(5) 행렬표집법 (Matrix sampling)
Ⅱ.2.3.복합적 표집기법
(6) 표집간격(sampling interval)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한국통계학회 조사통계연구회 역,『통계조사 실무자를 위한 통계조사방법』,자유아카데미, 1996
5. 표집의 절차와 그 유의점
Ⅰ서론
[중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 유아연구 및 평가 D형>표집의 의미와 표집방법에 대한 심층적 고찰
(3) 우연적 표집법(convenience sampling, accidental sampling)
(2) 모집단(population) = 작업전집(working universe)
Ⅱ본론
설명
- 방통대 2010-1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D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한국통계학회 조사통계연구회 역,『통계조사 실무자를 위한 통계조사방법』,자유아카데미, 1996 김병성 저,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 1997 김광웅 저, 『방법론강의』, 박영사, 1996 김진희 저, 『주제별 교육학 용어사전』, 지구문화사, 2001 배호순 저, 『교육심리연구방법론』독서물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842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C%8B%AC%EB%A6%AC%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5D%20%EC%97%B0%EA%B5%AC%EB%8C%80%EC%83%81%EC%9D%98%20%ED%91%9C%EC%A7%91%5B2%5D-8427_01.gif)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842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C%8B%AC%EB%A6%AC%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5D%20%EC%97%B0%EA%B5%AC%EB%8C%80%EC%83%81%EC%9D%98%20%ED%91%9C%EC%A7%91%5B2%5D-8427_02_.gif)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842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C%8B%AC%EB%A6%AC%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5D%20%EC%97%B0%EA%B5%AC%EB%8C%80%EC%83%81%EC%9D%98%20%ED%91%9C%EC%A7%91%5B2%5D-8427_03_.gif)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842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C%8B%AC%EB%A6%AC%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5D%20%EC%97%B0%EA%B5%AC%EB%8C%80%EC%83%81%EC%9D%98%20%ED%91%9C%EC%A7%91%5B2%5D-8427_04_.gif)
![[교육심리연구방법론] 연구대상의 표집[2]-842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C%8B%AC%EB%A6%AC%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5D%20%EC%97%B0%EA%B5%AC%EB%8C%80%EC%83%81%EC%9D%98%20%ED%91%9C%EC%A7%91%5B2%5D-8427_05_.gif)
(3) 유층표집 (類層標集, stratified sampling)
Ⅱ.1 표집의 기초
2. 다단계 무선표집
Ⅱ.1 표집의 기초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요소는 구성요소라고도 하며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 단위를 말한다. 따라서 표집조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발전하여야 할 것이며, 더불어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더 없이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모집단이란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사람이나 변수들 또는 관념이나 현상들의 집단 전체를 말한다.
(2) 계통표집 (systemetic sampling)
순서
김진희 저, 『주제별 교육학 용어사전』, 지구문화사, 2001
Ⅲconclusion
배호순 저, 『교육심리연구방법론』독서물
Ⅱ.2.1.확률표집(probability sampling)
1. 목적
레포트 >
Ⅰ 서론
(1) 전집(universe) = 일반전집(general universe)
observe단위는 reference(자료)수집 단위로서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개별요소 또는 요소들의 집합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