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박사연구원 급여 정규직의 절반 수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0 01:00
본문
Download : 101206111712_.jpg
특히 고급인력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처우가 나은 해외에서 체류할 의사를 밝히고 있어 처우개선이 시급하다.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급여 정규직의 절반 수준





대학과 공공기관 등에서 포스닥 처우를 정규직과 동일하게 하는 기관은 전체의 10%에 불과했다. 국외체류 희망 이유로는 업무와 생활環境 편이(30.1%)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급여 정규직의 절반 수준
분야별로 의·약학 계열이 정규직의 62.7%로 가장 낮았으며 이학계열 정규직 대비 63.1%, Engineering 계열 정규직 대비 66.2%로 조사됐다. 다만 장기 체류에 유보적인 비중이 23.7%임을 감안하면 장기체류 비중이 다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원은 분석했다. 이는 정규직 월 급여의 65% 수준이다.
2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작성한 ‘신진 이공계 박사의 노동property(특성) 분석 및 시사젼에 따르면 비정규직 박사연구원의 mean or average(평균) 월 급여는 25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정재 정보분석 실장은 “국내에서 포스닥이 요구하는 일자리와 시장에서 제공해줄 수 있는 일자리가 매칭이 안 되는 점을 보여준다”며 “이 같은 상황은 신진 이공계 박사의 두뇌유출로 연계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레포트 > 기타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급여 정규직의 절반 수준
Download : 101206111712_.jpg( 74 )
재료Engineering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포스닥 과정에 있는 이제욱 박사는 현재 해외 연구기관으로 옮기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설명
박사학위 이후 정규직이 아닌 형태로 연구 활동을 진행하는 박사 후 과정, 이른바 ‘포스닥’의 임금이 정규직의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닥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임금과 복지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
순서
특히 외국에 일자리가 있을 경우 국외 체류 여부에 대해 체류 의사가 있는 경우가 89.2%로 나타났다.
다. 유형별로 장기체류(28.9%)보다는 단기체류(60.3%)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동시에 포스닥의 기대임금으로는 300만~350만원대를 원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인재유출이 우려되기 때문일것이다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급여 정규직의 절반 수준
이 박사는 “국내 포스닥 과정은 임금이 정규직의 절반 수준인데다 경력도 해외경력이 더 도움이 된다”며 “국내에서 포스닥을 하는 인력은 대부분 해외로 가기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미국립보건원(NIH)에 근무하는 박정현 박사는 “NIH 내 포스닥 연구원은 1인당 연구비만 2만~4만(급여 별도)달러 정도”라며 “안정적이고 높은 처우 때문에 근무를 원하는 우수인력들이 많다”고 말했다.
반면에 미국은 사정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