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연구 - 가족의 다양성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7 01:38
본문
Download : 가족 연구 - 가족의 다양성에 대해서.hwp
그러나 정상 가족이라는 범주와 그렇지 않은 가족의 범주는 무엇을 기준으로 나뉘며, 누구에 의해 그 범주들이 강화되었냐는 점에서 다루고자 하는 논제를 제기하는 의문이 생긴다. 사회 병리적 문제로 생각하는 것이다.
다. . 일반적 가족 개념(槪念)의 2세대 가족과 다른 형태의 한 부모 가족, 무자녀 가족, 독신 가족, 집단 가족 등이 있고, 형태는 같지만 가족 구성의 기원이 다른 재혼 가족, 입양 가족 등이 있다.가족 연구,가족의 다양성
가족 연구 - 가족의 다양성에 대해서
순서





코시안 혹은 온누리안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코시안(Kosian)은 한국인(Korean)과 아시아인(Asian)의 합성어로 한국에 거주하는 아시아 이주 노동자의 자녀를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한국인과 구별 짓는 또 다른 차별적 용어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부정적인 차별 의미와 아시아인에 국한하는 의미를 대체하는 용어로 국제결혼 가정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담기 위해, 우리말인 온누리와 사람을 뜻하는 영어의 접미사인 -안(-an)을 합성한 온누리안이라는 조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그 범주의 기준은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신념에 의해 강화되었기에, 왜곡되었거나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에서 가족 형태의 다양성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연구할 목적이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코시안 혹은 온누리안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코시안(Kosian)은 한국인(Korean)과 아시아인(Asian)의 합성어로 한국에 거주하는 아시아 이주 노동자의 자녀를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한국인과 구별 짓는 또 다른 차별적 용어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설명
Download : 가족 연구 - 가족의 다양성에 대해서.hwp( 44 )
가족의 형태에 대해 정상 가족과 비정상 가족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이분법은 외형적으로는 정상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 내부의 갈등을 위장하는 “요새 가족”(Fortress family)을 예로 들어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의 부정적 폐해를 엿볼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즉, 가족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사회 병리적인 현상인지, 변화하는 사회구조에 따른 適應 양식인지에 대해 논의할 당위성이 있다는 것이다.
가족 형태 혹은 구성원의 다양성으로의 변화의 예로 비단 국제결혼 가정만 있는 것은 아닐것이다. 이 같은 부정적인 차별 의미와 아시아인에 국한하는 의미를 대체하는 용어로 국제결혼 가정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담기 위해, 우리말인 온누리와 사람을 뜻하는 영어의 접미사인 -안(-an)을 합성한 온누리안이라는 조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족의 형태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상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대체로 정상 가족의 규범을 벗어난 형태라고 인식하고 있다. 한 부모 가족을 예로 들면 한 부모 가족으로 불리기보다는 편부모 가족과 같은 부정적인 느낌이 담긴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상과 비정상의 문제가 단순히 수의 문제라면, 그것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기에 언제든지 바뀔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