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9 21:45
본문
Download :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hw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에 대한 글입니다. 청산별곡은 작품의 세련된 면모로 보아서, 쌍화…(省略)
Download :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hwp( 94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에 대한 글입니다.
다.청산별곡과찬기파랑가 ,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인문사회레포트 ,
청산별곡 과 찬기파랑가
청산별곡과찬기파랑가
그러나 시가문학의 발달이 전혀 침체된 것이 아니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후세에 많이 전해지지 못했을 따름이다. 속요는 시조 이외의 시가, 즉 장가의 한 형식이 되는 것으로 평민들 사이에 구전(口傳)되어 오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우리글이 만들어진 후, 성종 때에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문자화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구전되어 온 가요가 문자화된 일례를 정과정곡에서 보면, 이 가요가 악학궤범에 전하였으나 익재난고 소악부에 한역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구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고, 그 형식이 향가의 10구체와 비슷한 점으로 보아서, 향가의 한 발달 형식으로서의 고려가요로 그 맥을 이은 것임을 알 수 있따 이와 같이 구전되어 온 평민문학으로서의 속요는 그 작자가 알려져 있지 않음이 특징이다. 고려시대에는 한문학이 문학의 주류를 형성함으로써 우리 문학은 민속문학적 위치에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왔고,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두 가지 문학이 발생하게 되었으니, 경기체가가 귀족의 문학이라면 속요는 평민문학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