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9 01:04
본문
Download :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hwp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에 상대하여 요약했습니다. 이를 유동곡선이라 하며, 이 그림에서 이들 사이의 관계는 거의 직선이며, 이 곡선에서 N = 25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그 흙의 액성한계로 정이한다.atterburg ,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공학기술레포트 ,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Download :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hwp( 21 )
atterburg
순서
설명
1. 액성한계
액성한계는 흙이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즉, 이 상태에서 물기를 제거하거나, 건조한 흙을 혼합한다면 약간의 전단저항력을 갖는 상태-를 말하며 KS F2303에서는 <황동접시에 경사 60℃, 높이 1cm의 인공사면을 조성한 후에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에 둘로 나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유동하여 약 1.5cm의 길이로 합류했을 때의 함수비> 라고 정이되어 있따 그러나 정확하게 25회를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러 번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로부터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역추적하여 액성한계를 구한다. 액성한계는 세립토의 판별분류 및 工學적 성질을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요점
흙의 함수비 와 그때의 낙하횟수 N 사이의 관계를 반대수용지(semi-log paper)위에 나타내면 그림1(토질역학 p.12)과 같다.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2. 소성한계
소성한계 는 흙의 소성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함수비를 …(dro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