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수진설(祭需陳設)과 제사 순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1 23:56
본문
Download : 제수진설(祭需陳設)과 제사 순서.hwp
제사진설과제사순서 , 제수진설(祭需陳設)과 제사 순서기타레포트 ,
%EA%B3%BC%20%EC%A0%9C%EC%82%AC%20%EC%88%9C%EC%84%9C_hwp_01.gif)
%EA%B3%BC%20%EC%A0%9C%EC%82%AC%20%EC%88%9C%EC%84%9C_hwp_02.gif)
%EA%B3%BC%20%EC%A0%9C%EC%82%AC%20%EC%88%9C%EC%84%9C_hwp_03.gif)
%EA%B3%BC%20%EC%A0%9C%EC%82%AC%20%EC%88%9C%EC%84%9C_hwp_04.gif)
설명
,기타,레포트
다. 이 축문을 읽을 때는 엄숙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목청을 가다듬어 천천히 그리고 크게 읽어야 한다. 축문은 초헌이 끝난 다음 제주 이하 모든 제관이 꿇어 앉고 제주의 좌측에 축관이 꿇어앉아서 읽는다.
Download : 제수진설(祭需陳設)과 제사 순서.hwp( 59 )
순서
제수진설(祭需陳設)과 제사 순서
(3) 초헌(初獻)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좌집사가 제상의 고위(考位) 앞에 있는 잔반을 제주에게 집어주고 우집사가 잔에 술을 가득 붓는다.
(4) 독축(讀祝)
독축이란 축문을 읽는 것을 말한다. 제주는 술이 담긴 이 잔반을 왼손으로 잔반을 잡고 오른손으로 술잔을 들어 모사(茅沙) 위에 세 번 기울여 부은(三除)후 다시 양손으로 잔반을 받들어 집사를 주어 고위에게 올린다. 집사자는 아헌전에 잔반의 술을 퇴주 그릇에 따르고 빈 잔반을 본래의 자리에 놓아둔다.
레포트/기타
제사진설project사순서
제수의 의미를 알아보고, 제수진설과 제사 순서를 자세히 기록한 리포트입니다. 축문을 다 읽고나서 나면 일동이 곡을 하고 조금 있다가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그리고 밥뚜껑을 열고 저를 고른 후에 약간 뒤로 물러 나와 꿇어앉았다가 독축 후에 재배한다. 가문에 따라서는 앞에서와 같이 모사위에 술잔을 세 번 기울여 붓지 않고 그냥 신위 앞에 드리기도 한다. 비위(妣位)에게도 이와 같은 절차로 잔에 술을 부어 올린다.
그러…(투비컨티뉴드 )
제수의 의미를 알아보고, 제수진설과 제사 순서를 자세히 기록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