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concept(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present condi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8 00:33
본문
Download :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현황_5061664.hwp
%20%ED%98%84%ED%99%A9_5061664_hwp_01.gif)
%20%ED%98%84%ED%99%A9_5061664_hwp_02.gif)
%20%ED%98%84%ED%99%A9_5061664_hwp_03.gif)
%20%ED%98%84%ED%99%A9_5061664_hwp_04.gif)
%20%ED%98%84%ED%99%A9_5061664_hwp_05.gif)
%20%ED%98%84%ED%99%A9_5061664_hwp_06.gif)
3. 권리와 책임
1)국민의 권리와 의무
모든 국민은 가정이 구성원으로서 안정되고 인간다운 삶을 유지
할 수 있는 가정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가진다. 반면에 `가정`이라 함은 가족구성원이 생계 또는 주거
를 함께 하는 생활공동체로서 구성원의 일상적인 부양 ·양육 ·보
호 · 교육 등이 이루어지는 생활단위를 말한다. 모든 국민은 가정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복지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법 제
4조).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국가 몇 지방자치단체는 건강가정을 위하여 필요한 제도와 여건
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시책을 강구함에 있어 가족구성원의 속성 과 가정유
형을 고려하여야 하며, 민주적인 가정형성, 가정친화적 환경조성,
양성평등한 가족가치 실현 및 가사노동의 정당한 가치평가를 위하
여 노력하여야 한다(법 제5조).
4.기본원칙
1) 정이
건강가정기본법 에서 사용하는 정이는 다음과 같다(법 제3조).
`가족`이라 함은 혼인 · 혈연 · 입양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기본단
위를 말한다.
`건강가정`이라 함은 가족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省略)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concept(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present condition
설명
건강가정기본법의입법배경과개념,건강가정정책(사업)현황 ,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현황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현황_5061664.hwp( 62 )
건강가정기본법의입법배경과concept(개념),건강가정정책(사업)present condition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