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1 19:43
본문
Download : 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연구.hwp
이밖에도 북한의 한글전용 문제, 표준 발음 문제, 한자 문제 등 남한과 비교하여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은 남북한의 언어생활의 이질화가 생각보다 많이 진행되었음을 증명 해 준다.
,경영경제,레포트
다.
남북한의 어문규정의 차이점을 각기 규정집에 의거하여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하여 놓은 글입니다.남북한어문규정의차이점연구-국정[1] , 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남북한의 어문규정의 차이점을 각기 규정집에 의거하여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하여 놓은 글입니다.
우리말의 언어인구는 세계 12위며, 수출고도 역시 이와 같은 순위로 최근 집계되었다고 한다.
이상으로 북한의 언어 규범 중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남한의 규정과 비교해서 알아보았다.
Download : 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연구.hwp( 12 )
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연구
순서






설명
남북한어문규정의차이점연구-국정[1]
레포트/경영경제
여타의 어문규범과는 달리 ‘로마자 표기법’은 국제표준화기구의 요청으로 남과 북의 합의 하에 1991년 통일안이 제정되었으나, 이후 남측에서 2000년 7월 새로운 로마자 표기법을 제정함으로써 현재까지 분화의 길을 걷고 있다 현재 남북한이 대체적으로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로마자 표기를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사법을 원칙으로 하되, 정보화 시대에 컴퓨터와 인터넷(Internet) 사용에 유리하도록 전자법을 절충하여 남북 단일안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이 인구수는 물론 남북을 합한 통계이며 이렇게 볼 때 우리말의 국제적 지위는 생각보다 훨씬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