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전자工學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6 01:03
본문
Download : [레포트] 전자공학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hwp
이 외에도 상수 값을 직접 레지스터나 메모리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어디에서 데이터를 읽을 것이며, 어디에 데이터를 쓸 것인…(생략(省略))
1. 어셈블리 명령어의 형식
1.2. 레지스터(Register)
1.3. 레지스터를 가리키는 주소값
1.4.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16비트 주소값
순서
[report] 전자工學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레포트],전자공학과,Addressing,Mode,Register,File,for,KS88,Series,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 전자공학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 [레포트] 전자공학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 전자공학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report] 전자工學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다.
Download : [레포트] 전자공학과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hwp( 92 )
전자工學(공학) 과 4학년 test(실험) 리포트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Addressing Mode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이란?
프로세서(Processor)가 데이터를 읽고쓰기, 쓸 수 있는 곳은 프로세서 내부의 레지스터, 메모리, 그리고 I/O의 3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KS88 시리즈의 경우에는 I/O 주소와 메모리 주소를 구별하지 않는 방식(memory mapped I/O)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는 메모리 주소에 I/O 주소도 포함된다고 가정하고 說明(설명) 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의 이동을 몇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잇는데, 레지스터에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 이동, 레지스터에서 메모리로의 이동,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의 이동, 메모리에서 메모리로의 데이터 이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