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0 09:33
본문
Download : 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hwp
세습무의 제의에는 신의 하강로를 상징하는 신간(神竿)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제장(祭場)에 설치하는데, 남부지역에서는 크고 긴 것으로 하는 데 비해 중부와 북부지역 강신무의 굿에서는 대체로 간소화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다.무속신앙의유형과지역적특징 , 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의약보건레포트 ,
다.
또 중부와 북부지역 강신무의 무복(巫服)은 각 굿거리마다 개개 신의 신복을 상징하는 무복이 따로 있어 무 하나가 12종 내지 20종의 무복을 굿할 때 입으나, 남부지역 세습무의 경우는 무복이 2~3종 정도이며, 호남지역 <단골>은 무복이 퇴화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굿의 가무에 있어서도 강신무는 장구·징·꽹과리·제금 등의 타악기가 위주여서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빠르나, 세습무는 위의 타악기 외에 피리·젓대·호적 등의 취주악기와 해금·가야금·아쟁 등의 현악기가 반주되어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완만하다.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hwp( 54 )





설명
무속신앙의유형과지역적특징
,의약보건,레포트
3. 무속의 지역적 특징
제의면에서 볼 때 중부 및 북부지역 강신무의 굿과 남부지역 세습무의 굿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즉, 강신무는 굿을 할 때 신이 내려서 신격화함으로써 무와 신이 일원화하는 데 반하여, 세습무는 신을 향한 일방적인 사제로 신과 무가 양립된 이원화 현상을 보인다.
4. 성무과…(skip)
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무속신앙의 유형과 지역적특징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