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3 21:40
본문
Download :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hwp
up해방후한국유아교육 ,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인문사회레포트 ,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에 대한 글입니다. 제3기(1979~1986년)
제2차 유치원 교…(투비컨티뉴드 )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
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data(資料)를 수집한 기관은 덕성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의 5개 대학 도서관과 국회도서관, 그리고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어린이육영회 등이었다.
둘째, 일반연구보고서의 경우 교육관계 잡지 및 신문기고는 제외하였으며, 교육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학술연구지, 세미나 보고서 등을 포함시켰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수집된 data(資料)는,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공포된 시기에 의거하여 분류하였다.
up해방후한국유아교육
설명
Download :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hwp( 11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해방 후 한국유아교육의 학문적연구와 방향에 대한 글입니다.
셋째, 0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이전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data(資料)를 수집하였다.
첫째, 석·박사학위논문 및 일반연구보고서를 연구대상으로 채택하였다.
가. 제1기(1945~1968년)
광복 이후 최초의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공포(1969년)되기전까지의 시기
나. 제2기(1969~1978년)
1969년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령이 처음 제정·공표된 후 점차 학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조기교육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기 스타트한 시기
다.
이상과 같은 기관을 중심으로 수집한 data(資料)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