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사회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4 08:28
본문
Download : 다산 정약용의 사회사상.hwp
순서
4. 백성의 천자·군주 교체권 승인
Download : 다산 정약용의 사회사상.hwp( 81 )
레포트/인문사회
정약용의 신민본주의 사상에서 셋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백성들의 ‘君主交替權·君主改選權’에 대한 승인이다. 정약용은 이 관계를 알기 쉽게 춤추는 관중과 그 지도자의 관계를 예로 들면서 說明(설명) 하였다... , 다산 정약용의 사회사상인문사회레포트 ,






4. 백성의 천자·군주 교체권 승인
정약용의 신민본주의 사상에서 셋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백성들의 ‘君主交替權·君主改選權’에 대한 승인이다...
,인문사회,레포트
4. 백성의 천자·군주 교체권 승인 정약용의 신민본주의 사상에서 셋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백성들의 ‘君主交替權·君主改選權’에 대한 승인이다. 군주는 ‘代天’이 아니라 원래는 ‘代人’이며, 백성들에 의하여 추대되고 선출된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세…(skip)
다산 정약용의 사회사상
설명
다. 5가가 자기들의 隣長에 찬동하지 않으면 인장을 改善하고, 이장을 改善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백들이 얼마든지 천자를 改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지도자는 ‘代人’ 즉 ‘중인의 대표자’라고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천자·군주의 교체원리는 춤추는 군중의 지도자의 교체원리와 같은 것으로서, 그 지도자로서의 능한가 능하지 않은가에 따라 얼마든지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다른 비유를 들면 천자·군주를 改善하는 원리는 ‘두레’의 농악대에서 ‘상쇠’의 改善의 원리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정약용의 이와 같은 천자·군주교체론, 천자·군주改善론은 천자천명설·왕권신수설에 근거를 둔 ‘君主世習制’를 간접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