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hwp
그것은 평가 결과 활용의 개
념과 범위 심지어는 주채에 따라 influence을 미치는 요소가 다양하기 매문이다.
2.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A…(skip)
범주의 요소들을 식별했는데, (1) 평가 이전의 제약 요소로서 정책과 연관
된 지역사(歷史)회의 여건, 평가 자체의 지정된 제약, 재정상 제약, 타협 불가한
요구 사항 등을 포함하며, (2) 평가 결과 활용자들의 정향 요소로서 그들의
문제와 관심사, 이용자들의 평가에 대한 기대, 정보의 선호 형태 등을 포함
하며, (3) 평가자의 평가접근법 요소로서 formula적인 평가모형의 활용, 연구
analysis의 고려, 평가자의 평가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 방법, 이용자의
평가 간여에 대한 바람직성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4) 평가자의 신뢰성으
로서 청중의 인식과 평가자의 신뢰성이 평가 노력을 통해 변할 수 있는 점
등에 의해 좌우되며, (5)조직적 요소로서 지구(site)와 지역(district) 간의
상관 관계, 지구 수준의 조직 배열, 여타 정보원 등을 포함하고, (6)초조직
적 요소(extra-organizational factors)로서 지역사(歷史)회와 政府의 influence 등이
그 예가 되며, (7) 정보 내용 및 보고활동으로서, 예컨대 평가 자료(data)의 본질,
행정 및 조직 기술, 이니셔티브 수준 등을 포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나름대로
평가 결과 활용에 influence을 미치는 요소들을 일정하게 범주화시키고 있어서
이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공통적인 influence 요인을 도출할 수 있다
1. patton과 동료들의 견해
전술한 Patton et al.(1977)은 연방政府의 정신보건 프로그램(program])
평가 결과
를 어떻게 활용하고 그들의 평가 결과 활용에 influence을 주는 요소들을 식별
하기 위해 담당 프로그램(program])
인력과 평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다음
과 같은 열한 개의 요소를 추출해 냈다. 평가 결과 활용의 중요한
influence 요소로 (1)평가 결과 권고의 본질, (2)평가연구의 방법 및 신뢰성, (3)
평가 결과 보고의 적시성, (4)제안한 변경 조치에 대한 저항, (5) 평가연구
Download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hwp( 37 )
순서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인문사회레포트 , 정책평 요인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effect(영향)
요인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effect(영향)
요인
다. (3) 평가 요소로서 평가의
실행, 평가 절차, 수집된 평가 결과 정보, 평가 결과 정보의 보고 방법 등이
해당된다된다. (2)전후 관계 요소(context
구성 여건, 사회정치적 분위기, 회계상 제약, 평가 대상 정책과 조직의 다른
부문 및 주변 지역사(歷史)회와의 관계 등이 포함된다된다. 즉 (1)방법론의 질, (2) 방법론의 적
절성, (3) 적시성, (4)보고 지연, (5)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 연구 결과,(6)
예측 못한 평가 연구 결과, (7)核心(핵심)적이거나 부수적인 평가 대상 프로그램(program])
목적, (8)관련 연구의 유무, (9)정치적인 요인, (10)의사결정자와 평가자 간
의 상호 작용,(11)평가연구에 활용 가능한 자원을 선정한 다음 답변자들에
게 이들 요소 중 가장 influence을 많이 끼치는 요소 하나만을 선택하게 하여 (1)
정치적 고려와 (2) 개인적 요소임을 밝혀내고 이들 개별적으로나 병합해 영
향을 미침을 확인했다.
정책평,요인,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influence 요인
목차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influence 요인
Ⅰ. Patton과 동료들의 견해
Ⅱ. Alkin과 동료들의 견해
Ⅲ. Liviton과 Hughes의 견해
Ⅳ. Alkin의 견해
Ⅴ. Siegel과 Tuckel의 견해
Ⅵ.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
Ⅶ. Boyer와 Langbein의 견해
Ⅷ. Preskill과 Careacelli의 견해
Ⅸ. Hofstetter와 Alkin의 견해
Ⅹ. 종합
* Reference List
*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influence 요인
政府기관에서 평가 결과를 활용할 때 무엇이 가장 많은 influence을 미치는지
에 대하여는 연구자의 수만큼이나 다양하다. 구체적으로는 정책과 그 평가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관심사, 그들의
배경 및 조직적 위치, 그들의 경력 수준 등이다.
5. Siegel과 Tuckel의 견해
재하는 중요한 요인을 밝히기 위해 지역사(歷史)회 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program])
에 관
한 Nader와 GAO의 평가 연구사례(instance)를 analysis했다.
3. Liviton과 Hughes의 견해
한 토론회에서 평가 결과에 대한 진지한 토론의 유무와 평가 결과에 관한
정보가 부재한 경우 정책이나 프로그램(program])
담당자들이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
을 취했을 것이라는 증거의 유무를 제시하고 평가 결과 활용에 influence을 미
치는 변수군을 식별해 냈는데, (1)평가의 잠재적 사용자들의 요구와 관련
성 변수군으로서 평가 결과 보고서를 의사결정 전에 의사결정자들에게 제
때에 도착되게 하는 것 등을 포함하며, (2)평가정보의 잠재적 사용자와 생
산자 간의 의사소통의 정도 변수군으로서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요구 사
항에 대해 직접 의사소통하는 것 등이 포함되고, (3)평가 결과 정책에 대한
함의를 설명(explanation)해 주는 정보처리 변수군으로서 정보처리 스타일 등이 포함되
며, (4)평가자와 평가 결과 이용자 모두의 신뢰성 변수군으로서 평가에 대
한 신뢰성을 나타낸다. 그것은 (1) 인적 요소로서 사용자와 평가자의 property(특성)이 포함된
다.
게다가 평가 결과 활용에 influence을 미치는 요소가 평가 과정을 둘러싸고 있
는 정치적 ? 조직적 분위기의 변화에 쉽게 좌우되기 때문에 조작이나 통제
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5) 개개의 평가정보 사용자들의 활용 약속
이나 옹호변수군이다.
4. Alkin의 견해
로 정리(arrangement)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