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통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1:27
본문
Download : 조선통신사.ppt
조선 통신사의 파견 절차.
일본에서 새 막부장군의 승습 결정-` ‘통신사청래차왜’를 조선에 파견-` 조선에서 사절단 편성-` 한양-부산은 육로로 감-` 부산-대마도-시모노세키-오사카의 요도우라는 해로 이용-` 육로로 교토 도착.
조선 전기;장군이 교토에 있었기 때문에 교토가 종점.
조선 후기;장군이 도쿄에 있었기 때문에 도쿄가 종점.
일행이 통과하는 객사에서는 文化상의 교류가 성대. 방문하는 곳마다 서화 시문 등 많은 작품을 남김.
귀국 후 그들이 일본에서 겪은 일들을《해행총재》라는 견문록으로 엮음.
부산
한양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
도쿄
조선 통신사의 파견 목적.
[조선 전기]
조선 : 정치외교적인 목적. 일본 : 경제文化적인 목적.
[조선 후기] 임진왜란이 일어나, 통신사 파견의 일시중단-`일본의 요청으로 통신사 재개.
일본 : 봉건제후인 다이묘 통제. 조선 : 정치외교적인 목적
임란 직후에는 ‘회답겸쇄환사’라는 칭호를 씀. (조선에서는 이 시기에 도쿠가와 막부를 통신국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
일본 국왕사의 조선파견은 금지됨. (일본 국왕사의 상경로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침략로로 이용되어서)
1636년부터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 때문에 다시 통신사라는 호칭 사용.
일본…(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조선통신사.ppt( 78 )






조선통신사
다.
통신사의 파견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1429년(세종11) 교토에 파견된 정사 박서생의 사절단으로 최초의 통신사라고 할 수 있따
history적 의의 : 조 일 양국간만이 아니라, 중국(中國)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삼국의 평화공존을 위한 국제관계에 많은 effect을 끼쳤다는 데 있다
조선 통신사 행렬 모습.
한번에 300~500명 정도의 많은 인원의 사절단이 파견되었다.조선통신사,인문사회,레포트
조선통신사 , 조선통신사인문사회레포트 , 조선통신사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조선통신사
조선 통신사, 그들은 누구인가.
일본을 받드는 외교사절,
일본 막부를 승인하기 위한 외교사절,
선진 文化의 전도사,
그 진실은 무엇인가
김승민
‘조선 통신사’란 무엇인가
조선에서 일본의 막부장군에게 파견되었던 formula(공식)적인 외교사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