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0:48
본문
Download : 광고론_1136532.hwp
한편 외국에서 귀사제품이 Made In Korea 임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를 질문한 결과 「매우 잘 알고 있다」가 30.0%,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42.5%, 「그저 그렇다」14.2%, 「별로 잘 알지 못한다」 12.5%, 「전혀 잘 알지 못한다」는 응답이 0.8%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제품의 인지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해외광고 담당자들은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우리나라 해외 광고 담당자들이 평가한 한국의 대외적 국가이미지는 우선 「 전혀/별로 좋지 않다」는 opinion이 53.7%인 반면, 「매우/어느 정도 좋다」라는 긍정적인 평가는 9.9%에 불과했다. 5점 척도에 의한 平均(평균) 점수도 2.49점으로 중간에도 미치지 못했다.
{단위:명, ( )안은 %}
구분
국가이미지
상품이미지
제품국적인지도
매우 좋다
어느 정도 좋다
보통
별로 좋지 않다
전혀 좋지 않다
3(2.5)
9(7.4)
44(36.4)
51(42.1)
14(11.6)
…(skip)
광고론 , 광고론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광고론_1136532.hwp( 73 )
다.
한편 한국의 상품이미지에 관련되어는 「전혀/별로 좋지 않다」49.2%, 「그저 그렇다」42.6%, 「매우/어느 정도 좋다」 8.2%로 평가하고 있어 국내의 해외광고 담당자들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재품의 대외적 이미지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가 대외적으로어떻게 비춰지는가 하는 문제는 해외에서의 제품판매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광고론
레포트/경영경제
광고론
설명
3.국제 광고의 향후 課題
(1)국제 광고에 대한 인력과 조직의 강화
(2)부정적 국가 상품 이미지 해소 위한 전담기구, 전문인력 양성의 시급
어떤 상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는 그 상품이 만들어진 국가가 어디인가 하는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품 제조국의 이미지가 상품구매의사, 선호도, 품질에 대한 평가 등을 變化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