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한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9-05 09:59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한옥.hwp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하며 남쪽으로 짓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산의 모양이나 물의 모양에 따라 세부적으로 조율하는데, 이는 건축주의 사주팔자나 직업, 지병 등에 따라 건축가가 임의로 조정하기도 한다. 현대식으로 지은 집은 `양옥`이라고 한다.
[사회과학] ●한옥
[사회과학] ●한옥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한옥,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한옥 , [사회과학] ●한옥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한옥
Download : [사회과학] ●한옥.hwp( 88 )
![[사회과학]%20●한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1.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2.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3.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4.gif)
순서
설명
한옥
한옥(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한다. 온돌로 방바닥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따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은 다양한 왕조를 거치며 변모해 왔는데 현재 가장 많이 선호되는 양식은 조선왕조의 양식을 주로 따르며, 부분적으로 남북국 시대의 양식을 따르기도 한다.
`한옥`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은 융희 2년(1907년) 4월 23일에 쓴 `가사에 관한 조복문서`인데,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서 이 말이 쓰이고 있따 당시…(투비컨티뉴드 )
다. 조선집이라고도 한다. 또, 한옥은 바람의 통로와 물의 위치, 산과 평야와의 거리와 방향, 즉 풍수지리 theory(이론)에 근거하며 집의 목적과 거주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짓는 건축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