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범종의 history(역사) 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1 16:17
본문
Download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hwp
(종신)
범종의 몸체는 한국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김칫독을 엎어 놓은 것 같은 형태로 매우 안정감을 갖고 있으며, 종정에는 용뉴와 용통, 즉 음관이 있다
또 당좌 2개와 주악하는 비천상 2구를 상호 교대로 배치하였으며, 상대와 하대를 갖춘 것 외에 상대에 접하여 네 군데에 9유두를 구비한 유곽을 배치하고 있다 종정의(定義) 천판은 연꽃잎을 둘러서 장식하고 있는 것 등이 신라 범종 종신의 특징이다. 이와 같이 상하가 다른 주물법도 신라 범종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용뉴와 용통)
신라 범종의 …(drop)
설명
한국 범종의 history(역사) 에 대해서
,기타,레포트
다.
이와 아울러 종신과 종구의 비례는 2:1 내지 1.5:1의 비율에 가깝게 이루어져 있다 종신의 단면을 도면으로 작성하여 볼 때 신라 범종은 종구 쪽이 기차 레일처럼 안쪽으로 약간 형으로 되면서 두껍고, 종복에 이르러서는 점차 얇아진다. 이것이 종정에 가까운쪽으로 올라갈수록 다시 두껍게 되나 종구 쪽보다는 약간 덜 두꺼운 상태이다.
레포트/기타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






Download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hwp( 13 )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순서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과 당좌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