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 /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2:45
본문
Download :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hwp
[註25] 이 때 서울시는 도로주변 용지를 구획정리(arrangement)하고 저가로 매수하면서, 공용사업으로 체비지(替費地)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사업비를 충당하기 위해 1968년 2월 1일에 실시...
설명
레포트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 /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
순서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을 목적으로 한...
Download :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hwp( 40 )





[report]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 /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을 목적으로 한...
레포트 > 기타
다. [註23]강남 신시가지 개발은 이와 같이 주거공간의 시외곽(市外廓)으로의 확대재생산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1966∼1970년 사이에 서울의 인구증가를 직업별로 보면, 사무직 종사자가 94.3% 증가했으며 전문직은 84.9%, 관리직은 56.7%, 그리고 판매 · 서비스직은 79.1%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따이와 같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서울에 화이트칼라층으로 대표되는 관리 · 사무직이 집중적으로 거주하게 되었고, 1970년대 이전의 빈민이나 난민구호를 목적으로 한 것과는 달리 자가주택수요(自家住宅需要)의 核心층으로서 중간계급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지 개발의 압력이 가중되었다. 그런데 강남 신시가지 개발이 처음 되던 1970년대 초반에는 산업화에 따른 계급구성의 변화로 주택수요구조가 변모하기 처음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 지역이 중산층의 집단 주거지역으로 형성되면서 서울의 주거지 공간구조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그런데 서울 시내의 정상택지는 이미 대부분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택지공급정책은 강남의 미개발지역 택지조성과 도심주변의 무허가 정착지의 재개발이라는 두 갈래 방향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지역의 개발을 촉진한 근본적인 계기는 1966년 1월에 착공되어 1969년 2월에 준공된 제3한강교(현재의 한남대교)의 건설과 1968년 2월에 착공되어 1970년 7월에 개통된 경부고속도로의 건설이었다. [註24]현재의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이 도시지역으로 개발된 것은 1966년 도시기본계획 당시 이 지역을 부도심으로 계획하였던 데에서 비롯된다. 개발이 진행되면서 나타난 재정위기와 사업비의 부족은 강남지역의 투기 과열을 조장하게 되었다.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과 강남개발한편, 주거공간의 확대재생산을 목적으로 한 택지공급정책(宅地供給政策)이 실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