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 능동문에서 수동문으로의 도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8 16:59
본문
Download : 통사론-능동문에서_수동문으.hwp
그래서 원래의 문장 [2]에서 목적격인 [the car]가 주격의 위치로 이동하여 주어로써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동사 ’put이 어휘정보 를 만족시키도록 ‘put 다음의 목적어 자리 ‘―’ 로 이동시켜보면 [2]의 문장이 되므로 [1] 과 [2]에서의 동사 ‘put의 하위 범주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사론 - 능동문에서 수동문으로의 도출
영어 영문학 영문학 / ()
영어 영문학 영문학 / ()
2. NP-이동변형





1.에서 말한데로 동사 ‘put 다음의 [NP the car]를 주어자리로 이동했다면 동사 ‘put의
[3] *The car will be put the bike in the garage.
순서
설명
목적어 자리에 공백이 남게 된다. 그래서 [3]과 같이 동사 ‘put’에 목적격을 부여하면 [3] 은 틀린 문장이 된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동사 ‘put’의 어휘정보는 [Vput + NP(대상) + PP(처소역)] 이러하다. 왜냐하면 [3]을 D-st.로 바꾸어 보면, [4]와 같이 됨을 알 수 있는 데, [4]에서의 동사 ‘put 다음의 하위범주를 살펴보면 [Vput + NP¹+ NP² + PP] 이렇게 된다.
Download : 통사론-능동문에서_수동문으.hwp( 88 )
영어 영문학 영문학
[4] S[NPe] will be put the car the bike in the garage.
다. 여기에서는 격충돌이 일어나므로 동사 ‘put의 어휘정보를 위반한 것이다. 그런데 [1]에서 는 동사 ‘put’ 다음에 PP(처소역)인 ‘in the garage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