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수축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30 01:53
본문
Download : .hwp
설명
8. Reference List
3) 흙의 선수축 : 어떤 함수량으로부터 수축한계까지 함수량을 감하였을 때의 선수축량을 처음 길이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수축에 관한 정수는 아래와 같다.
2. 시험의 기구
흙의 수축한계란 흙이 반고체 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로서 KSF에서는 함수량을 어떤 량 이하로 감하여도 그 흙의 용적이 감소되지 않으며 함수량을 그 량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흙의 용적이 증대하려는 함수량을 함수비로서 표시한 것이라고 定義(정의)한다.
7. 고찰
흙의 수축한계
1. 시험의 목적





다.
1. 시험의 목적
수축한계 흙 반고체상태 / ()
순서
레포트 > 기타
4. 결과의 계산방법
수축한계 흙 반고체상태
6. 결과의 이용
2) 흙의 수축비 : 수축한계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 체적alteration(변화) 와 그것에 대응하는 함수량의 alteration(변화) 량과의 비를 말하며, 이것은 마른 흙의 겉보기 비중과 같다. 수축정수 시험은 수축한계 및 수축에 관한 모든 정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5. 시험의 결과
Download : .hwp( 98 )
수축한계 흙 반고체상태 / ()
3. 시험방법
1) 흙의 체적alteration(변화) : 어느 함수량(보통 액성한계를 취한다)으로 부터 수축한계까지 함수량을 감소하였을 때의 용적alteration(변화) 를 흙의 건조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