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assign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31 08:05
본문
Download :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hwp
이 시기의 국어문법에 대표적인 논제는 품사의 분류이었다. 그러나 단어형성론의 경우에는 주시경의 학설이 김두봉과 최현배에 이르면서 근본적인 방향전환 없이 계승되며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그러나 이 세 문법서에서 단어형성론적 기술의 기준은…(dro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hwp( 63 )
다.,인문사회,레포트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assignment
설명
국어형태론연구의흐름과assignment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쟁점 및 assignment에 대하여 요점하였습니다. 전통문법의 흐름에서 품사분류의 경우에는 주시경(1910), 김두봉(1916)의 分析(분석)적 체계(조사와 어미를 품사로 인정)가 최현배(1937)에 이르러서는 절충적 체계(조사만 품사로 인정)로 바뀌는 큰 전환이 있었다.국어형태론연구의흐름과과제 ,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Ⅱ.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
1. 전통문법적 연구: 품사론 속의 형태론
국어 문법 연구의 초창기로부터 기술문법의 도임 이전까지의 국어학 연구에서 형태론은 대개 품사론 속에서 전개되었다. 즉 주시경(1910)에서 설정된 단어형성의 세 범주 ‘기몸박굼’(品詞轉成), ‘기몸헴’(合成法), ‘기뜻박굼’(品詞轉成)은 최현배(1937)에서도 ‘겹씨’ ‘씨의 바꿈’(몸바꿈과 뜻바꿈)으로 계승되면서, 다만 ‘씨가지’론(000)이 추가된 발전이 있었던 것이다.
순서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쟁점 및 과제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토(조사)와 어미의 품사 인정 여부가 가장 초점이 되었으며(본고 Ⅲ. 1. 참고), 잡음씨(000)나 접속사의 설정 여부도 중요한 쟁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