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3 11:17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물관리.hwp
순서
다.
60년대 경제개발 근대화정책 추진이후 우리나라의 정책과 이를 집행하는 행정조직은 어떤 면에서 보면 `개발을 촉진하여 공급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어서, 수자원 정책도 이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물관리_정책의_변천과definition _문제가되는점 과_改善방향
우리나라 물관리에 대한 글입니다.물관리_정책의_변천과정의_문제점과_개선방향 , 우리나라 물관리법학행정레포트 ,
우리나라 물관리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우리나라 물관리.hwp( 31 )
,법학행정,레포트
2. 물 관리 정책의 問題點 - 공급위주의 정책
기존의 물 관리 조직과 법체계에 대하여 수량과 수질의 이원화 관리, 수도업무의 이원화 관리, 행정구역 단위의 하천관리체계, 수자원에 대한 포괄적 규정 부재와 관리책임의 불명확, 지역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법적 근거의 부재 등이 問題點으로 지적되어 왔다. 물 관리의 통합적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1996년부터 「물 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고, 1997년부터는 「물 관리정책 조정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기존의 분산된 물 관리 체제를 그대로 둔 채 단지 물 관리정책 조정위원회에 정책조定義(정이) 역할만을 부여한 현재의 체계는 조정과 통합기능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1965년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1966…(drop)
우리나라 물관리에 대한 글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와 같은 업무의 분산성과 실질적인 통합조정기능의 부재라는 현 물 관리 행定義(정이) 問題點 못지 않게 중요한 問題點이 바로 공급위주의 수량관리 정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