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법상 근로자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3 15:45
본문
Download : 노조법상 근로자개념.hwp
3. 근기법상 근로자와의 구별
근기법상 근로자에는 해고된 자, 실업자, 구직중인 자가 포함되지 않지만, 노조법상 근로자에는 해고된 자, 실업자, 구직중인 자도 포함된다 이는 근로3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의 범위를 획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4. drawback(걸점)
판례는 노조법상 근로자의 판단기준으롤 근기법상 근로자의 판단기준인 직접적 사용종속관계를 그대로 요구하고 있어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따 또한 판례에 의하면 근로자성은 부인되지만 근로자와 유사한 요소를 지니고 있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근로3권의 허용여부 등 사회적 보호방안(方案)에 대상으로하여도 살펴볼 필요가 있따
Ⅱ. 노조법상 근로자 槪念
1. 적극적 요건
1) 직업의 종류를 불문
노조법상 근…(省略)




노조법상 근로자개념 , 노조법상 근로자개념법학행정레포트 , 노조법상 근로자개념
노조법상,근로자개념,법학행정,레포트
노조법상 근로자개념
다.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노조법상 근로자개념.hwp( 84 )
설명
노조법상 근로자개념
노조법상 근로자槪念에 대한 연구
Ⅰ. 서설
1. 헌법상 근로3권 보장의 취지
헌법이 근로3권을 보장하는 것은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 대등성을 확보하고 노사자치주의의 실현을 기본취지로 하고 있따
2. 노조법상 근로자의 槪念 및 취지
노조법상 근로자라 함은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 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