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0 10:40
본문
Download :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hwp
화방재의 동쪽에는 소가정(小柯庭)이 있는데 뜰에는 가산이 있고 뜰 앞에는 회화나무가 있다아 화방재의 남쪽에 있는 호복간(濠濮澗)은 못과 수사를 중심으로 하는 경원이다.
레포트/인문사회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에 대한 글입니다.
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
설명
Download :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hwp( 71 )
,인문사회,레포트
동양조경사4
* 경화도(瓊華島) : 삼신선도의 하나인 봉래도를 상징한 것으로 단성(團城)쪽에 있는 정문으로부터 들어오면 길이 80m의 영안교(永安橋)라는 백색의 석교가 나타나는데 양편에 퇴운, 작취의 패(牌)가 서 있다아 한편 다리를 건너 경화도에 이르면 남쪽으로 향하는 주건축물이 나타나고 산위에는 높이 35.4m의 티벳식 라마탑(백탑)이 솟아 있는데 북해공원의 랜드마크 역활을 한다.
* 북안(北岸)지역 : 경청재를 비롯하여 징관당, 오룡정, 소서천등이 있는데 무엇보다고 이 지역의 명 물은 구룡벽(九龍壁)인데 나비 25.52m, 높이 6.65m, 벽두께 1.42m의 크기를 갖춘 구룡벽은 보라, 노 랑, 오렌지, 적갈, 청, 녹, 백등 7색 유리판으로 되어 있다아
- 중해 : 근정전등 몇개의 궁전이 있고 호수안에는 연꽃잎과 갈대가 무성하…(skip)
순서






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에 대한 글입니다.동양조경사4 ,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다.
* 동안(東岸)지역 : 이곳에는 잡단, 화방재, 호복간등의 건물이 있으며 화방재의 안뜰에는 방지가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