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덕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5 02:43
본문
Download : 유교의 덕목.hwp
특히 유교에서는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리키는 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Download : 유교의 덕목.hwp( 64 )



인간의 인식능력과 인식결과를 일컫는 개념(槪念).
지 (智)인간의 인식능력과 인식결과를 일컫는 개념.특히 유교에서는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리키는 개... , 유교의 덕목인문사회레포트 ,
지 (智)
유교의 덕목
지 (智)
인간의 인식능력과 인식결과를 일컫는 definition .
특히 유교에서는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도덕적 인식능력을 가리키는 definition 으로 사용한다. 유교적인 definition 의 기본내용은 맹자(孟子)에 의해 갖추어졌는데, 그는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是非之心)을 지(智)라 하여 인(仁)·의(義)·예(禮)와 함께 사람에게 천부적으로 구비된 선한 본성을 이루는 것이라고 했다.
지에 대한 이 2가지 서로 다른 관념 가운데서 맹자의 것…(생략(省略))
다. 이 경우 지는 인식결과로서의 지식을 의미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 경험적 지식이라는 점에서도 맹자가 말한 지와는 전혀 달랐다. 그런데 순자(荀子)는 사람이 갖추고 있는 경험적 인식능력을 지(知)라 하고, 그러한 능력을 이용하여 획득한 인식결과를 지(智)라고 했다. 사람들은 배우지 않고 의도하지 않더라도 그러한 본성을 깨닫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즉 양지(良知)·양능(良能)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선한 본성을 드러낼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맹자의 사상에서 지는 경험적 지식이나 그러한 지식을 획득하는 능력과는 전혀 성격을 달리하는 도덕적 본성 또는 도덕적 인식능력을 의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