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00:56
본문
Download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hwp
2. 문제의 소재
이러한 채용내정은 사용자 측면에서 필요한 인력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으며, 채용 내정자 입장에서는 졸업 전에 안정적인 직장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때 사용자가 채용 지연, 채용 취소시 내정자는 다른 회사에 취직할 기회를 상실하는 등의 불이익이 문제된다 즉 채용에 대한 기대권 침해, 지위 불안정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Ⅱ. 채용내정자의 법적지위 (법적성질)
채용내定義(정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여 채용내정을 둘러싸고 발생할 수 있는 당사잔 분쟁사전예방, 사후적 분쟁해결수단의 선택이라는 관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1. 문제의 소재
채용내定義(정의) 경우 통상적 근로계약과 달리 채용결정과 근로제공, 임금지급 시기가 분리되는 바 이의 법적성질이 문제된다
2. 학설
1) 근로계약 불성립설
이는 채용내정을 근로계약 체결과정 일부로 보고, 근로계약 체결의 예약으로 본다.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Download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hwp( 36 )
근기법상 채용내정과 관련 한 주요 법적 쟁점 검토
근로기준법상 채용내정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1. 채용내정 의의
채용내정이란 정식채용 상당기간 전에 채용할 자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할 경우 채용 내정 취소는 손배책임(신뢰이익, 예약불이행)만 발생시키게 되며, 채용 내정자에게 종업원 지위 주장 가능성은 없게 된다
2) 근로계약 성립설
기본적으로 채용내정으로도 근로계약이 성립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따라서 채용내定義(정의) 취소시 내정 취소자는 해당 기업에 대해 종업원 지위에 대한 주장이 가능하다.
…(생략(省略))
근기법상,채용내정과,관련,한,주요,법적,쟁점,검토,법학행정,레포트
다. 이에는 다시 해제조건부근로계약 성립설, 정지조건부 근로계약성립설, 해약권유보부 근로계약 성립설 등이 세부적으로 나누어진다. 근로계약예약설, 근로계약체결과정설이라고도 한다. 이 학설에 의할 경우 회사의 모집광고를 청약유인으로 보고, 지원자의 응모를 근로자청약으로 보고, 채용내정을 그에 대한 승낙으로 간주하여 근로계약 성립으로 보는 견해이다. 예컨대 졸업예정자를 졸업 후 채용하기로 미리 결정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