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복지의 展望과 처리해야할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0:43
본문
Download : 다문화복지의 전망과 과제.hwp
다문화복지의 전망과 과제 , 다문화복지의 전망과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다문화복지 전망과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문화복지,전망과,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문화복지의 展望과 처리해야할문제
Download : 다문화복지의 전망과 과제.hwp( 30 )
다문화복지의 展望과 처리해야할문제
다文化복지의 展望(전망) 과 과제(problem)
Romanyshyn에 의하면, 사회복지는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모든 형태의 사회적 노력을 포함하며, 사회문제의 치료와 예방, 인적 자원의 개발, 인간생활의 향상에 직접적 관련을 갖는 일체의 시책과 과정을 포함하며, 개인이나 가정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사회제도를 강화시키거나 improvement시키려는 노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다文化복지의 실천적 과제(problem)를 미시적으로 살펴본 김범수 등은 첫째, 다文化가족을 위한 언어교육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초 중 고 정규교육을 통해 다文化가족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 다文化가족 자녀에 대한 교사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며, 셋째, 가정에서도 다文化가족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하고, 넷째, 다文化가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부터 각 지역별로 다文化가족센터가 건립되어야 하며, 다섯째, 다文化가족의 한국생활 adaptation(적응) 을 도울 수 있는 …(To be continued )
다. 다文化복지의 실천적 과제(problem)를 미시적 측면에서 살펴본 박천응은 다음과 같이 요점하고 있다아
첫째, 외국인에 대한 민족중심주의적 편견을 버리고, 둘째, 다文化에 대한 편협한 편견에서 벗어나 다文化공동체의 文化체험교육이 필요하며, 셋째, 불법체류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 체류자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고, 넷째, 외국 이주민집단 거주지를 양성화하여 그들에게 지歷史회의 참여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지歷史회의 안정과 통합을 이루어 낼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이주근로자와주민의 갈등을 최소화하여 서로 필요로 한 program의 공동개발 및 시범운영이 필요하고, 끝으로, 지역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뤄 낼 program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거시적 다文化복지 또한 다文化를 형성하는 요인인 성, 민족, 인종, 계층, 거주지, 연령, 특수성, 종교와 언어 등 그 관련된 영역 전체가 사회복지의 전체에 비교될 수 있다아 따라서 향후 다文化복지는 소수자를 위한 미시적 우선 정책에서 거시적 통합 정책으로 발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