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간의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2:24
본문
Download : 실내공간의정의.hwp
1) 바닥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기초적 요소로서 바닥면은 인간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된 기구 등을 지지해 주는 안전한 구조의 기준면을 제공해준다.
에워싸여진 공간은 실내를 지각할 수 있고 느낄 수 있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으로부터의 이해가 실내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核心(핵심)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실내공간을 외부공간이나 인접한 다른 내부 공간으로부터
한정짓고 분리하는 벽, 바닥, 천장, 문, 창문 등의 요소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구성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형태는 달라지는데 그 중에는 한정된 공간이라 definition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한정된 공간은 최소한 세 개 이상의 벽이 있거나 천장면과 그 모서리를 규정하는 요소가
있어야 확실한 의미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세 개 이상의 기둥이나 서로 맞닿지 않는 벽, 그리고 머리 위쪽에 위치한 평면도
보이지 않는 막을 형성하여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암시적 공간이 된다된다. 그러므로 바닥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수평면이여야 한다.
[ 실내공간의 구성요소 ]
실내를 구체적인 한정된 공간으로 만들고 있는 기초적 요소로서 바닥, 벽, 천장, 문, 창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ownload : 실내공간의정의.hwp( 23 )
실내공간의정의,기타,레포트
실내공간의정의
레포트/기타
실내공간의정의 , 실내공간의정의기타레포트 , 실내공간의정의
실내공간의정의
실내공간의 definition y
실내공간은 인간이 그 내부로 들어가 그 속에서 생활하고 살 수 있는 현실공간이며 구체적 공간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한정된 실내공간의 내부에 이러한 암시적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내공간은 무한하고 공허한 공간으로부터 그것을 에워싸고 규정하는 요소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벽, 바닥, 천장, 문, 창문 등을 말한다. 다만, 바닥의 한 부분이 기준면보다 약간 올라오거나 내려앉음으로써 전체 공간으로부터 한 영역을 구분해 주며 기능적으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면은 일단 공간의 흐름이나 동선을 차단하…(drop)






설명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