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0:28
본문
Download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hwp
당시 고등학교 교육 여건의 평준화를 위하여, 부실학교 정리(arrangement) 및 학교시설 정비, 교원자질 향상 및 처우improvement(개선), 사립학교 육성 및 지원, 도심지 학교 외곽 이전 및 학군 세분화, 학교 및 교사의 과외금지, 농·어촌지역 학교 육성정책 등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와 현재의 쟁점들을 바탕으로 먼저 고교선택제와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해 탐구해보고, 서울시 학교선택제의 현재의 상황을 진단해보고, 그 쟁점에 대해 分析해보고자 한다. 또 실업계 및 2부 고등학교 입시는 전기에 실시하며, 학교별로 임의 지원할 수 있게 하여 경쟁 입학을 허용하되, 그 입학자는 인문고 지원을 불허하는 것으로 하였다.
3. 고교선택제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학교선택제의 논의는 고교평준화 정책과 관련이 있다아 고교평준화 정책은 우리나라 고교입시에 따란 교육적, 사회적 문제의 완화에는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한 것이 사실이다.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교육사회학
-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
목차 Contents
1. 서론: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3page
2. 고교평준화 4page
3. 고교선택제 6page
4. 교육의 공공성 8page
5. 우리나라의 일반계고 고교선택제 現況 10page
6. 서울특별시의 고교선택제 12page
7. 고교선택제의 쟁점 14page
8. 고교평준화, 고교선택제 찬성/반대 입장 19page
9. 토의 25page
10. conclusion(결론) 26page
1. 서론 :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학교선택 문제는 어떤 학교를 다니느냐에 따라 교육적 성취나 future 의 직업획득 및 삶의 展望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고 불 수 있다아그동안의 우리나라의 고교평준화 정책은 중등교육을 정상화 시키고 과열과외를 완화하고, 교육기회 균등 및 지역간·사회계층간 위화감을 해소하는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아 하지만 학력의 하향평준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교육경쟁력이 저하되며, 학습 집단의 차이로 학습 및 생활지도가 어렵고, 교육이 획일화되고, 사학의 자율성을 제한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아 우리나라 학부모들은 강제배정이 원칙을 적용하는 고교평준화제도를 지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학교선택제를 그 이상으로 지지하고 있다아
그러나 학교선택제는 현존하는 불평등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불평등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비판적 평가가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다아 그리고 한국의 학교선택의 상황은 학교선택체제의 다양화·characteristic(특성)화 경향에도 불구하고 선택의 다양성과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고, 학교선발기능의 약화와 경쟁적 교육체제로 인하여, 특목고, 자립형 사립고 중심의 선발경쟁의 성격을 띠고 있다아 또한 선발과정에서 학부모 文化(문화)자본의 effect력의 증대로 계층 간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징후를 보고하고 있다아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에서 학교선택제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논란되고 있는 쟁점들을 分析하고 대표적으로 서울시의 고교선택제와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해 논의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초중등교육법상의 과학, 어문계열 특수목적고의 설립 목적은 각 분야의 영재양성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이들 설립에 기초가 된 정책 보고서에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설명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경영경제레포트 , 교육사회학 서울시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Download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hwp( 96 )
교육사회학,서울시,고교평준화와,고교선택제,경영경제,레포트
다. 즉, 입시준비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학생의 전인발달이 저해되었고, 학부모들은 학교 밖에서 행해지는 과외수업 등에 과도한 사교육비를 부담하게 되어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풍조까지도 만연하게 되었다. 1986년에는 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과학고가 특수목적고로 편입되었고,1992년에는 어학영재 양성을 위한 외국어고가 특수목적고에 추가되었다. 현재까지 각 정권에서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고교입시경쟁이 부활할 경우 발생하는 사회적 교육적 비용을 우려, 현재까지 평준화 정책을 기본으로 하여 고교 다양화 方案을 모색하고 있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