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0:40
본문
Download :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hwp
1) 아동은 사람들과 상호 연관을 맺지 못하고, 극단적인 자폐적 단절 상태에 있다.
자폐성장애는 1943년 캐너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으며, 그 진단준거는 계속해서 개정되어 왔다. 사실 그가 서술한 결정적인 증후들은 그 이후 의미있게 alteration(변화) 되지는 않고 있다.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
2) 아동은 안기기 위한 예비동작을 취하지 못한다.
Download :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hwp( 9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목 차 1.진단기준 2.임상 양상 3.경과 및 예후 4. 치료적 접근
4) 아동은 모든 것이 똑같이 (동일성이) 유지되기를 바라는 불안하고 강박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
순서
특수아동지도,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
설명
1.진단기준
3.경과 및 예후
목 차
2.임상 양상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701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0/%5B%ED%8A%B9%EC%88%98%EC%95%84%EB%8F%99%EC%A7%80%EB%8F%84%5D%20%EC%9E%90%ED%8F%90%EC%84%B1%20%EC%9E%A5%EC%95%A0%EC%9D%98%20%EC%A7%84%EB%8B%A8%EA%B8%B0-7017_01.jpg)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701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0/%5B%ED%8A%B9%EC%88%98%EC%95%84%EB%8F%99%EC%A7%80%EB%8F%84%5D%20%EC%9E%90%ED%8F%90%EC%84%B1%20%EC%9E%A5%EC%95%A0%EC%9D%98%20%EC%A7%84%EB%8B%A8%EA%B8%B0-7017_02_.jpg)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701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0/%5B%ED%8A%B9%EC%88%98%EC%95%84%EB%8F%99%EC%A7%80%EB%8F%84%5D%20%EC%9E%90%ED%8F%90%EC%84%B1%20%EC%9E%A5%EC%95%A0%EC%9D%98%20%EC%A7%84%EB%8B%A8%EA%B8%B0-7017_03_.jpg)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7017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0/%5B%ED%8A%B9%EC%88%98%EC%95%84%EB%8F%99%EC%A7%80%EB%8F%84%5D%20%EC%9E%90%ED%8F%90%EC%84%B1%20%EC%9E%A5%EC%95%A0%EC%9D%98%20%EC%A7%84%EB%8B%A8%EA%B8%B0-7017_04_.jpg)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7017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0/%5B%ED%8A%B9%EC%88%98%EC%95%84%EB%8F%99%EC%A7%80%EB%8F%84%5D%20%EC%9E%90%ED%8F%90%EC%84%B1%20%EC%9E%A5%EC%95%A0%EC%9D%98%20%EC%A7%84%EB%8B%A8%EA%B8%B0-7017_05_.jpg)
캐너가 최초로 서술한 11명의 자폐아에 대한 내용을 통해 증후의 포괄적인 양상이 intro 되고 있다.
4. 치료적 접근
1.진단기준
자폐증의 증상은 독특하다고 논의되었으므로 진단도 비교적 간단해야 할 것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다른 조건들로부터 자폐증을 구분해 내는 것은 그리 쉽지만은 않다. 캐너가 지적한 주요한 점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3) 언어문제가 있다 : 몇몇은 함묵증(緘默症)을, 몇몇은 지연된 반향어를, 인칭대명사는 들은 그대로 반복하고, 말은 글자 그대로 이해한다. 두 번째로는 실제적인 견지에서 아동이 자폐아인지, 아니면 다른 장애를 겪고 있는 것인지를 평가해 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미국정신의학회는 1994년까지 3차에 걸쳐 자폐성 장애 진단준거를 개정해 왔고, 세계보건기구도 1993년까지 2차에 걸쳐 그 진단준거를 개정해 왔다
다. 몇 가지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데, 첫째로는 理論적 견지에서 자폐증이 완전히 특수한 것인지, 아니면 정신분열증이나 정신지체의 한 유형인지가 문제시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