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이외수의 벽오금학도와 도교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0:39
본문
Download : 이외수.hwp
마음만 먹으면 구름처럼 하늘에 새하얗게 흩어져서 떠다닐 수도 있을 듯 한 느낌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언제나 등에 둥글고 기다란 금빛 비단통 하나를 둘러메고 있었다. 금방이라도 스르르 녹아서 손바닥 속으로 스며들어가 버릴 듯한 느낌이었다. 전혀 무게가 느껴지지 않았다. 당연한 것 같았다. 눈이 부실 정도였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그런 것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공간 속에서 어처구니없게도 악몽을 꾸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갈을 하나 집어 들었다.
Download : 이외수.hwp( 71 )





순서
그의 외모는 매우 특이했다. 무게란 사물들이 가지고 있던 일종의 속임수처럼 느껴졌다. 1) 문학작품 속 도교사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외수의 벽오금학도와 도교사상
설명
[국어국문학] 이외수의 벽오금학도와 도교사상
이외수의 벽오금학도와 도교사상
『벽오금학도』의 스타트은 백발동안인 대학원생이 탑골공원에 나타나며 스타트한다. 무중력 상태 같았다. 그 또 다른 세계에서는 금빛을 뿜어내는 학이 날아들고 순백색의 옷을 입은 어른들과 노인들이 사는 그런 곳, 바로 신선의 세계를 뜻하는 것이다. 부피도 높이도 길이도 넓이도 마찬가지일 것 같았다. 백발동안-얼굴은 귀공자처럼 해맑은데 머리카락은 고희를 넘은 노인처럼 온통 된서리가 하얗게 얹혀 있었다. 전혀 자신의 체중을 느낄 수 없었다.
아이는 걸으면서 심신이 몹시 가벼워져 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어린 시절 범인 같지 않았던 할아버지와 할머니 하얀 학이 찾아 들던 농월당 그리고 오학동, 이 모든 주변 인물과 배경들이 인간들의 세계가 아닌 또 다른 세계가 있음을 이야기 해주고 있다. 그런데도 아무런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손바닥에 가만히 힘을 주어보았다. 너무 생생한 느낌이었다. 염색을 하지 않은 이상 속세에서는 쉽게 나타날 수 없는 형상을 하고서 말이다. 자갈의 감촉이 느껴지기는 하는데 전혀 견고한 물질이 아닌 것처럼 생각되었다.
이외수 벽오금학도 도교사상
다. 오학동이라는 마을을 경험하고서 백발이 된 이 아이는 어쩌면 또 하나의 신선임을 암시하고 있기도 하다. 아이는 어느 순간에 문득 자신이 자갈을 만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갈이 자신을 만지고 있는 듯한 착각 속에 빠져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