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15:58
본문
Download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hwp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순서
<전기>
황남동 109호분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것이지만 묘곽의 배치와 일부 남은 호석의 상태로 보아 원래 지름은 그 두배 정도는 되었다고 생각도니다. 이 고분은 봉토 높이 12.7m 지름 23.6m 이고 묘곽은 동서 방향의 단곽으로 크기 6.6(동서)×4.2(남북)×2m(길이)이며 그 바닥은 109호분과 달리 지상에 있따 목곽의 내부에 동서 방향으로 놓인 목관…(drop)
황남동 109호분
설명
Download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hwp( 87 )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전기> 황남동 109호분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기타레포트 ,
<전기>
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109호분은 4개의 목곽으로 구성된 다곽묘인데 구조상 3,4곽이 먼저 축조된 뒤 1,2곽이 봉토를 파낵 그 위에 축조된 것임을 알수 있따 이 경우 묘곽 안의 유물로 보아 제 1곽은 남성의 남자, 제 2곽은 1곽의 배장격인 사람의 묘, 제 3곽은 동침의 남자묘, 4곽은 3곽의 유물 부곽으로 판단된다 이 3,4곽은 거기서 나온 토기, 철등자(발걸이)등을 기중으로 현재로서는 경주 시내 적석목곽분 중 가장 오랜 4세기 전반경으로 편년되는 것이고 1,2곽은 그 보다 훨씬 뒤인 것으로 중기로 간주되고 있따
중기
천마총(황남동 155호분
전술했다시피 천마총은 해방 전에 매겨진 마지막 고분번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