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학] 기본권의 주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6 22:15
본문
Download : 기본권의주체.hwp
기본권 능력과 기본권 행사능력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Ⅲ. 법인의 기본권 주체성
1. 국민의 concept(개념) 및 범위
Ⅲ.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Ⅰ. 기본권의 주체
2. 기본권 능력과 기본권의 행사능력





국민이란 우리나라 국적을 가진 사람을 모두 포괄하는 concept(개념)이다.
설명
1. 긍정설
2. 부정설
1. 국민의 concept(개념) 및 범위
Ⅱ. 기본권 주체로서의 국민
2. 부정설
[헌법학] 기본권의 주체
기본권의 주체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을 어떠한 자가 누릴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 즉, 기본권 능력을 가진 사람은 기본권의 주체라고 할 수 있지만, 모든 기본권의 주체가 기본권의 행사능력을 가진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둘째, 헌법에서 입법형성권에 일임하여 입법자가 법률로써 그 제한을 구체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선거법에 규정된 국회의원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20세로 정해진 것을 그 예로 들수 있다아
본 글은 자연인과 법인 및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대하여 논하고 있는 글입니다.
기본권, 기본권 주체, 법인, 외국인, 자유권
[목차]
① 의의
3. 사견
순서
기본권 능력이란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기본권 행사능력이란 기본권 능력을 가진 주체가 기본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두 concept(개념)에 불일치가 생기는 세가지 원인(原因)에는 첫째, 헌법이 직접 명문규정을 두고 기본권의 행사능력을 제한하고 있는 것인데, 공무담임권을 일정한 연령과 결부시켜 헌법이 직접 정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Ⅰ. 기본권의 주체
[본문일부]
1. 긍정설
2. 기본권 능력과 기본권의 행사능력
다. 여기에 마주향하여 자연인이 기본권의 주체가 됨에는 이견이 없지만, 법인과 외국인이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아여기서는 이러한 자연인과 법인 및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대하여 논해보도록 하겠다
Download : 기본권의주체.hwp( 5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사견
Ⅱ. 기본권 주체로서의 국민
본 글은 자연인과 법인 및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대하여 논하고 있는 글입니다. 따라서 특별권력관계에 있더라도 자연인인 모든 국민은 당연히 기본권의 주체로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을 누릴 수 있다아 다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기본권 능력과 기본권 행사능력의 구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