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삼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8 09:34
본문
Download : 사서.hwp
이 책은 내편과 외편으로 크게 나뉘어지고 다시 내편을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 계고(稽古)의 네 편으로, 외편을 가언(嘉言), 선행(善行)의 두 편으로 분류했다. 송대에 와서 주희가 소학의 교육이 행해지지 않음을 개탄하여 옛날의 소학에서 실시하던 교육 내용으로 된 글들을 모르고, 또 그 글과 관련되는 옛 성현들의 말과 행실을 수록하여 이 책을 만들었다. 하, 은, 주 삼대에는 소학이라는 학교가 있어서 연소자에 대한 정규 교육이 실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서 삼경
순서
1. 사서
3. 歷史(역사)서
<천자문(千字文)>
<소학(小學)>
4. 입문서
사서 삼경 역사서 입문서 / (사서)
2. 삼경





중국(中國) 남조(南朝) 양(梁)의 주흥사(周興嗣:470?~521)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의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되는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고 하며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句), 합해서 1,000자가 각각 다른 글자로 되어 있따 내용은 ꡐ천지現況(天地玄黃)ꡑ에서 스타트하여 ꡐ언재호야(焉哉乎也)ꡑ로 끝난다. 당나라 이후 급격히 보급되어 많은 서가(書家)에 의하여 쓰여졌으며 그 중에서도 습자교본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왕희지의 7대손 지영(智永)이 진서(眞書:楷書)와 초서(草書)의 두 체로 쓴 『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 본으로 1109년에 새긴 석각(石刻)이 전하고 있따
사서 삼경 歷史서 입문서 / (사서)
Download : 사서.hwp( 89 )
4. 입문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명심보감(明心寶鑑)>
설명
사서 삼경 역사서 입문서
다.